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암과 항균작용을 가진 터펜의 생물활성

전문가 제언

이 고찰논문은 오랫동안 인류에 의해 약용으로 이용되어온 식물추출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식물이 가지고 있는 정유인 터펜이 가지는 항암효과 및 항균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효과를 검증하는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약용식물에 대한 이용이나 효과에 대한 연구 논문은 국내에서도 많이 발표되어있으나 그 효과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분석이나 임상실험에 대한 유전자 발현분석 데이터 특히 정유의 효과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결과는 별로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등대풀 같은 천연 식물에서 분리된 터펜이 가지는 항암효과나 항균작용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나 임상실험은 국내에서 크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TTO와 terpen-4-o1은 아드리아 마이신에 저항성인 흑색종 세포에 더 세포독성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둘다 p-glycoprotein(Pgp)에 대한 기질은 아니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최근에는 국소 처리된 ingenol-3-angelate가 Pgp 기질로 흡수이동에 의해 표피를 가로 질러서 종양지점(site)에 침입한 후 종양 맥관구조(vasculature)를 손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Perillyl 알코홀에 의한 암세포의 G1세포 주기 억제는 싸이클린 카이네이즈 저해제인 p21과 p27에 의해 중개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쥐에서 perillyl 알코홀의 국소적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Ras 저해, 세포사멸 그리고 TPA에 의해 유도된 염증과 종양 발생에 대항하는 산화스트레스의 저해를 통한 예방적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터펜 싸이몰(thymol)과 카바크롤(carvacrol)모두 대장균의 세포막 전위와 침투성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이 세포 분석기에 의한 분석으로 밝혀졌으며 분자생물학적 기술의 적용으로 터펜에 노출된 후에 미생물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발현의 변화에 대해 과학자들의 분석과 평가가 가능해졌다.

저자
Sara J.Greay and Katherine A. Hamm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14()
잡지명
Phytochemistr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6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