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산사태 민감성 평가의 기준으로 이용되는 임계가속도
- 전문가 제언
-
○ 중국에서 일어난 2008 Wenchuan 지진은 약 200,000개소에서 산사태를 일으켰으며 이 연구는 그 사건으로 일어난 산사태를 정밀 검토하고 있다. Newmark 방법에 근거해서 지진 때문에 여러 가지 지질재해가 일어난 Sichuan분지 Beichuan지역을 대상으로 임계가속도와 산사태 발생 간의 상관관계가 분석되었다. 그의 결과는 임계가속도가 사면안정성을 평가하는데 양호하고 신뢰성 있는 기준이 된다는 점과 사면구배와 구성물질의 성분이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지시하고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수평방향의 임계가속도는 급사면에서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지식은 지진으로 촉발된 산사태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지진기록이 충분치 않은 지역에서 최대지반가속도 결정을 위해 임계가속도와 산사태 분포도를 종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 규모 9.0 이상의 지진은 대부분 지각판 경계에서 일어난다. 우리나라의 계기지진 기록은 수십 년에 불과하므로 이들 계기지진 자료만으로 최악의 지진 발생 가능성을 추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한국은 지각판 경계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기 때문에 최악의 지진 발생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학자들은 말한다. 현재까지 한국에서 규모 5 이상의 지진은 1978년 홍성지진을 비롯하여 수차례에 불과하다.
○ 현재 우리나라의 산사태 위험도 평가에서는 지진을 전혀 고려하지 않으나 차후로는 최소한의 지진 가속도값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건물과 구조물에 대한 내진설계 등의 지진 대비가 잘 되어 있어야 된다. 이러한 지진위험 취약성을 발굴하여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Xiao-Li Che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217()
- 잡지명
- Geomorph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5~22
- 분석자
- 박*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