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 유도 글리세롤의 고부가가치 제품화 촉매변환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연료생산 부산물로 생성된 대량의 글리세롤 이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염가의 원료물질인 이 다가알코올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료 글리세롤로부터 고부가가치 화합물을 생산하는 것이 글리세롤을 소각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처리방안이 될 수 있다. 그래서 글리세롤은 가용성, 재생가능성 및 독특한 구조로 글리세롤을 특수 화합물생산의 생산 시발물질로 주목을 끈다.
○ 이 문헌의 주목적은 글리세롤의 산화, 탈수, 아세틸화, 에스테르화, 아세탈화 및 가암모니아산화(ammoxidation) 공정에 대한 여러 가지 촉매의 촉매반응에 초점을 맞추었다. 대표적인 산물로는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1,3-dihydroxyacetone, 1,3-propanediol, dichloro-2-propanol, acrolein, 수소 및 에탄올이 있다. 촉매에 대한 최근의 연구로는 반응조건, 경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 우리나라에서도 “혼합 금속산화물 촉매에서 글리세롤의 수소화 분해반응을 통한 프로필렌글리콜의 합성”에 관한 연구가 CLEAN TECHNOLOGY(Vol. 20, No. 1, March 2014, pp. 7~12)에 발표된 바 있다. 내용은 이원계 및 삼원계 금속산화물 촉매에서 프로필렌글리콜의 글리세롤의 전환반응에 관한 것으로 혼합산화물 촉매에서는 단일 금속 산화물에 비해 글리세롤의 전환율과 프로필렌글리콜의 선택도가 증가하였다는 내용이다.
○ 또한 “바이오디젤 생산과정에서의 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을 이용한 고농도 수소생산시스템 및 수소생산방법”에 관한 특허(등록특허 10-1037572, 등록일자 2011년 05월 20일. 특허권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가 있고, 그 밖에도 글리세롤에 관한 연구가 다수 있다.
- 저자
- Samira Bagher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41()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13~127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