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 베타글루칸의 항염증 효과
- 전문가 제언
-
○ 균의 베타글루칸은 항종양, 면역조절, 항염증 특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인다. 산화질소(NO), 인터루킨(ILs),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인터페론-감마(INF-γ), 비사이토카인 매개자,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같은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조절로, 항염증 효과는 조정된다. 지금까지 베타글루칸의 항염증활성은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본 리뷰에서는 균 베타글루칸의 항염증 효능에 대한 기내 연구, 동물연구, 인간 연구, 베타글루칸 구조와 항염증활성 관계가 검토된다.
○ 베타글루칸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매우 활발하여, 발표된 논문도 많고 건강식품으로 출시된 제품도 많다. 효능에 관한 논문은, 항알레르기 활성에 미치는 영향(2012), 경구투여에 의한 면역촉진에 관한 임상연구와 장내 흡수기전(2014), 사료첨가제로서의 대식세포 기능 활성 및 유방암 세포에서의 항암효능(2012), 피부창상 치유에 미치는 영향(2013, 2011), 면역조절 기능식품 베타글루칸(2012), 노인 당뇨환자의 혈압, 혈당,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2012) 외에도 상당히 많다.
○ 베타글루칸 분석과 제조에 관한 논문은, 보리의 전분, 단백질, 베타글루칸의 동시추출법(2014), 영지버섯의 베타글루칸과 폴리페놀 함량 비교 분석(2013), 꽃송이버섯 추출물과 잔사의 식이섬유와 베타글루칸 함량(2012),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베타글루칸 추출조건 최적화(2010), 친환경 천연공법을 통한 버섯 베타글루칸 강화소재 개발(2011), 버섯 베타글루칸 제조를 위한 구조와 생리활성-식품학적 특성 (2012) 등이다. 또한 고등균류의 베타글루칸이 IL-23과 TI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2014)도 발표되었다.
○ 베타글루칸의 항암, 면역조절, 항염증 효능은 인정되지만, 관련 문헌은 일관성이 없고 가끔 모순된다. 정제된 화합물보다는 천연추출물이 연구에 흔히 이용되어, 다른 화학물질의 교란영향도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건강식품으로서의 베타글루칸은 유망하지만, 의약용으로 적용하려면 약리작용 기전이 밝혀져야 하고, 2중 맹검법, 위약 대조, 무작위 임상시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 저자
- Bin Du, Chengyuan Lin, Zhaoxiang Bian, and Baojun X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41()
- 잡지명
-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9~59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