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I 식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화상회의 시스템 기술
- 전문가 제언
-
○ 화상회의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와 다수 사이트의 컴포지트 비디오(composite video) 신호가 혼재될 경우 비디오 스트림의 송수신자를 구별할 수 없어 화상회의의 효율을 급격히 저하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참가자들의 큰 소리로 인해 때로는 잡음으로 들릴 수도 있다. 이 기술에서는 별도의 비디오/그래픽 처리모듈과 URI 식별자를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점이 기술적 가치가 있다.
○ 화상회의 인프라(그림 1의 110)는 엔드포인트(그림 1의 120)에서 오디오 지문의 끝점을 설정하여 MCU(그림 1의 140)를 통해 화상회의 사이트 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IP네트워크(그림 1의 150)에 트래픽이 폭주(congestion)할 경우 네트워킹 효율이 급격히 저하될 수도 있다. 이를 개선하여 멀티미디어 신호를 오디오/비디오/데이터(텍스트)로 분류하여 각 미디어의 주파수대역에 맞는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대역폭의 낭비를 줄이고 보다 원활한 화상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 화상회의 시스템은 국내외 지점망(영업망) 등을 인터넷을 통해 연결할 수만 있다면 시간 절감, 출장비 및 통신비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업무효율을 극대화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화상회의 시스템은 기업/관공서 등의 주요회의 및 월례조회, 인터넷 강의, 기업체의 사내 연수, 학생 교육 및 병원의 의료 강의(원격진료 및 상담) 등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재난 및 재해 발생 시에도 적용되면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 화상회의 솔루션시장 특성은 저비용, 고효율의 솔루션 개발로 나타나고 있다. 화상회의 시스템 구축 관련 기술적 측면에서는 카메라 인식속도, 전자게시판 기능 등의 향상성 문제가 과제이다. 차세대(5G) 스마트폰 및 UC와의 연동성 등 스마트워크(smart work)기능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어 향후 관련 시장은 지속해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저비용 고효율의 화상회의 시스템을 확산시키고, 글로벌 시장선점을 위한 첨단 솔루션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PEXIP AS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91440
- 잡지명
- WO2014191440 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8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