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로탁산-중재된 금나노구의 완전한 가역적 초결정체로 자기-조립
- 전문가 제언
-
○ 금나노입자(AuNP)는 용매(보통 물)중의 크기가 100㎛ 이하인 금입자로서 생물학적 안정성과 생물분자 결합능력이 우수하여 면역화학, 면역조직화학 등에 생물학적으로 널리 응용된다. AuNP 현탁액에서는 입자 크기에 따라 빛깔이 달라지고 조건에 따라 공, 막대, 입방체, 삼각형, 타원체 등 여러 모양이 생긴다. 특히 AuNP 재료는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어 바이오센서 개발에 가장 매력적인 재료로 추천되고 있다.
○ 고민감성의 안정한 바이오센서분야에서 AuNP 재료의 능력은 면역감응 분야의 생물분석에 특히 유용하다. AuNP의 탁월한 감지능력과 물리 및 전기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광학, 전기화학, 빠른 현장진단 등 다양한 검출법 개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나노재료이다. 감응장치에서 더 낮은 검출한계와 더 작은 검출의 필요성에서 AuNP는 간단하고 싼 분석체계로 극도의 민감한 검출용 다목적 분석에 응용의 가치가 높다.
○ 우리나라의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정부지원을 받아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저분자 검출비색 센서나 금속NP를 이용한 광학센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직 실험실 환경에서만 개발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저가이고 고품질규격의 정확한 생채 내의 센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진단치료의학에서 형광성의 탐침과 항체-기반의 바이오센서 표지를 이용한 분석과 영상학적 기술의 상용화가 요구되고 있다.
○ AuNP 표지에 바탕을 둔 놀랄만한 감도는 재래식 방법으로 검출할 수 없는 질병인자의 분석전략 개발에 유망하며 고감도 생물탐지로 질병의 조기진단이나 테러리스트 공격에 대응할 수 있다. CD초분자로 안정화시킨 AuNPs의 합성은 나노입자의 감지분야에서의 잠재적인 응용과 함께 플라즈몬 초결정체를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소개되었고 이에 의해 나노결정체는 분자 축 길이와 초고리의 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 저자
- Joao Paulo Coelho,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3()
- 잡지명
-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2751~12755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