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매핑을 위한 고해상도 지상과 위성의 영상 레이더 자료 통합: San Fratello 사례
- 전문가 제언
-
○ 산사태는 점진적 산사태와 급진적 산사태로 분류가 될 수 있으며, 점진적 산사태는 화산활동이나 지진 및 지하공동으로 인한 지반침하 등으로 인해 광범위한 지역에서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지형적 변화를 의미하며, 지속적인 지반약화를 초래하여 차후 급진적 산사태로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급진적 산사태는 국지성 호우 등으로 지반이 급격하게 함몰되며 발생한 산사태를 뜻하며, 특히 최근 기상이변과 더불어 빈번하게 발생하는 산사태이기도 하다.
○ San Fratello 지역의 이례적인 강우사건은 급경사와 실트-점토질 퇴적물 피복으로 되어 있는 지역이 산사태에 예민하게 되어 사면 움직임을 촉발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이 지역은 지난 3세기 동안에 기간이 다른 3 개의 커다란 산사태 영향을 받았다. 1974년에 발생된 사태는 마을의 북동 구역에 피해를 준 가장 오래된 사태이다. 또한 1922년에 야기된 거대한 산사태는 마을의 서부 언덕의 넓은 영역을 완전히 파괴시켰다.
○ 이 글은 2010년 2월 14일에 발생된 최근의 산사태는 건물과 기반시설에 가장 심한 피해를 준 지역 동편 언덕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 지역에 영구산란 간섭계와 지상 고해상도 영상 레이더 간섭계의 잠재적인 통합 기술사용으로 San Fratello 산사태 매핑과 모니터링 활동의 산사태 재해 저감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사후 비상관리 지방당국과 의사결정권자들에게 GB-InSAR와 PSI 기술의 통합에 의한 San Fratello 시험장소의 산사태 매핑에 매우 효과적인 기술임을 입증시켰다.
○ 전체 국토의 70%가 산지인 우리나라는 자연 재해 중 산사태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상황에 있으며, 최근에는 기상이변으로 국지성 호우가 잦아지면서 광범위한 지역에서 불규칙적으로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산사태에 의한 국내 지질재해 저감기술로 고해상도 영상레이더(SAR)기술, 특히 영상차분간섭기법(Differential Interferometry SAR)을 활용하고 있다. 한반도의 잦은 기상이변에 의한 불규칙적인 산사태 발생 감지를 위해서는 이 글에서 언급된 GB-InSAR 기술과 PSI 기술의 통합된 기술 활용을 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Federica Bardi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223()
- 잡지명
- Geomorph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5~60
- 분석자
- 조*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