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A의 임상 연구를 토대로 식품에 이용
- 전문가 제언
-
○ DHA는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으로 식물 플랑크톤과 해조류가 주로 생합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자기 자신이 DHA를 만들 수 없는 어류, 갑각류, 조개류 등은 먹이연쇄에 의해 DHA를 함유한 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에 중성지방의 형태로 DHA를 축적하고 있다. 사람은 DHA를 생합성하는 데 필요한 효소가 체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DHA를 함유하는 음식의 섭취에 의존해야 한다.
○ 건강기능식품인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유지는 기능성분 함량은 EPA와 DHA 합으로서 어류 유래 원료는 180mg/g 이상, 바닷물범은 120mg/g 이상, 조류는 300mg/g 이상 함유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최종제품은 혈중 중성지질 개선·혈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고, 일일 섭취량은 EPA와 DHA의 합으로서 0.5∼2g으로 규정하고 있다
○ 본보고서는 혈청 중성지방을 낮추어 생활 습관병의 예방을 위하여 DHA와 EPA를 보충하여 고단백질, 저지방 건강식품으로 어육소시지의 개발을 위하여 임상 자료를 토대로 어육소시지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장기간 DHA와 EPA 섭취는 가벼운 치매 노인에게 연령에 따른 인지 기능 저하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 2009년 박은 "한국형 우울증의 위험인자로서 Omega-3 Index 및 오메가-3 지방산의 항우울증 효과" 연구보고에서 오메가-3 지방산의 항우울증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임상연구를 한 결과, 오메가-3 인덱스는 우울증의 위험지표로 사용 가능하며, 오메가-3 지방산 섭취는 한국인 우울증 환자에게 약간의 항울증 효과가 있다고 발표하였다.
○ 최근 많은 연구 보고에서 일반적으로 오메가-3 지방산이 함유하고 있는 DHA와 EPA는 지질 저하 등 많은 기능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 캡슐, 알약, 또는 건강보조식품으로 섭취하고 있다. 이에 건강 유지에 효과적인 DHA가 풍부한 더 많은 가공식품의 개발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 저자
- Tadakazau TAM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23(1)
- 잡지명
- 脂質營養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5~52
- 분석자
- 이*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