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감지, 동작, 계산, 통신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재료

전문가 제언

단순작업을 대신하는 로봇이 아니라 스스로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손상된 곳을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스마트 재료 또는 로봇 재료에 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실제로 2012년의 세계 로봇시장의 규모는 총 133.2억 달러였으며 앞으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한국 로봇융합연구원 보고, 2014). 현재 세계적으로 일본과 미국 등이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로봇 산업분야에서는 비교적 낙후된 실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기능의 로봇 재료가 아닌 감지와 동작, 통신 그리고 계산 등의 여러 기능들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복합재료의 개발에 대한 동향과 전망을 상세히 소개하였다. 특히 최근에 집중적 연구되고 있는 아몰퍼스 컴퓨팅 등 분산형 병렬 컴퓨팅이 스마트 재료의 제작에 결정적인 요소임을 강조하여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을 이용한 인공피부 및 스마트드레스 등 최신 로봇 재료를 소개하여 이 분야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단순한 로봇기능을 넘어서는 능동적이며 환경에 따라 스스로 반응을 결정할 수 있는 스마트로봇 재료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초창기라고 할 수 있으나 미국 MIT나 Colorado 대학 등이 연구를 선도하고 있으며 기존로봇 연구의 강국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도 AIST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로봇에 관한 연구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어 앞으로 스마트 재료에 의한 산업이 3D 프린팅과 함께 새로운 신 성장산업으로 대두하리라고 기대된다.

 

국내에서도 최근 스마트 재료 및 로봇 재료에 대한 관심과 연구역량이 높아지고 있다. 그 한 예로 1st Annual World Congress of Smart Materials-2015(WCSM-2015)이 지난 3월 23일부터 25일까지 부산에서 개최되어 280여명의 세계적인 스마트 재료의 선도학자들이 참석하여 최신 연구동향을 발표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인하대, KAIST 등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연구 성과가 발표되고 있어 적절한 산학협력이 이루어진다면 새로운 스마트 소재산업에서 시장을 선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자
M. A. McEvoy and N. Correl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347(6228)
잡지명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2616891~12616898
분석자
김*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