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음노출과 생식결과

전문가 제언

임신 중의 특정 시기에 임신부가 소음에 노출되면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태아의 착상과 태반형성의 조절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자궁의 혈류량도 감소할 수 있다. 본 원고는 직업적 및 환경적 소음에 대한 산모의 노출과 생식결과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소음노출과 생식력 사이의 관련에 대한 증거는 확실하지만, 인간에 대한 소음연구는 많지 않았다. 직업 및 역학연구에서 산모의 소음노출이 생식에 부정적인 영향(특히 저체중아 출산)을 미친다는 암시적 증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간은 인구/인종적 요인, 환경/사회경제적 상태 그리고 산모의 생리/심리적 특성과 이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생식결과가 영향을 받는다. 환경, 직장 그리고 가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스트레스를 주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며, 임신부에게 생리적 및 심리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직업적 소음노출과 관련된 역학연구의 한계는 임신 중 직업적 소음에 대한 노출 여부를 임신부의 생각에 의존하는 소음노출 평가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소음노출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는 개인의 스트레스반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작업환경에서 정확한 소음노출평가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쾌적한 환경, 삶의 질의 문제가 부각되고 있으나, 소음에 관해서는 아직도 미흡한 편이다. 임신부를 포함한 주민들은 소음, 특히 시위와 집회에서 발생하는 고음의 스피커 사용, 층간 소음에 시달리고 있다. 소음규제법을 포함한 관련 법규를 검토, 정리함은 물론, 법의 엄격한 집행이 요구된다.

 

저자
Gordana Ristovska, Helga Elvira Laszlo, Anna L. Hansel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11()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931~7952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