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G.P.대가 형성된 Mg-Ca압출합금의 강도증대에 기여하는 요인분석

전문가 제언

최적의 생분해형 생체재료 설계는 특정기간 동안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이 유지되면서 적절한 속도로 분해되어 목표기간이 지나면 제거수술을 하지 않고서도 스스로 제거되어야 하며 동시에 분해 부산물이 인체에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특수 생체재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기에 여러 분야의 많은 학자들이 지난 몇 년 동안 협동적이면서 체계적으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생체재료는 매우 복잡하고 서로 이율배반적인 조건 하에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용도에 맞는 최고의 재료개발하기 위하여 이론적이며 계산방식의 재료설계와 더불어 실험실 및 생체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재료를 제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생분해와 관련된 부식 연구와 부식 부산물의 해를 줄이는 합금원소의 선정도 중요하지만 치유기간 동안 골격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Mg합금의 개발 또한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이 목표달성을 위한 방안 중 가장 중요한 것이 합금원소의 선정이다. 사용된 합금원소가 분해 시 인체에 해가 없어야 하며 합금 내에서 Mg기지를 강화하며 열적-기계적 처리로 자신도 높은 강도를 갖는 석출물 형성이 가능한 Mg-Ca계 합금이 최근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압연기의 상하 롤의 속도를 달리해 강한 전단변형을 가하여 초미세립·나노 판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high-ratio differential speed rolling, HRDSR)으로 Mg-Ca계 합금의 강도를 개선하는 연구를 홍익대학 연구팀이 개발하였다. 또한, 이 분석자료에서 시도한 Ram의 진행 방향과 압출재의 이동방향이 반대인 간접압출방식으로 결정립 미세화와 석출강화를 이용한 강도개선방안도 있다.

 

이 분야의 연구는 일본과 중국에서 활성화 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홍익대, 창원대, 울산과기대 및 재료연구소 등 대학과 연구소에서 HRDSR, 저온압출, 간접압출 및 속도조절 압출 방식으로 Mg-Ca계합금과 Mg-Al-Zn계 합금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저자
H. Pan, G. Qin, Y. Ren, L. Wang, S. Sun, X. Me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630()
잡지명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72~276
분석자
남*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