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x 처리에서 저온플라스마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저온플라스마(NTP)기술은 반도체 등 전자산업, 고분자중합과 의료분야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환경 분야의 적용은 1980년대부터 선진국 은 기존의 탈질용 SCR의 단점(고온, 고가와 촉매폐기)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NTP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해서 에너지와 탈질효율향상, 부산물 제로화와 경제성검토 등을 위한 실증테스트가 이루어지고 있다.
○ 촉매를 유전체로 충전한 유전체장벽(DBD) 펄스플라스마 방전기를 2단화 하여 De-NOx 효율과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강유전체, 하니컴 촉매 및 첨가제의 재질이 중요하며 첨가제는 C2H4보다 C2H5OH이 저렴하고 분사가 잘된다. 미국에서 바이오매스연소 배기용으로 저온의 packed-DBD 방전기에서 O3을 생성해 NOx와 반응시켜 Scrubber에서 HNO3로 제거하는 공정이 개발되었으나 폐수처리의 단점이 있다.
○ 본 연구는 6가지의 NTP반응기의 특징을 비교하고 일반연소배기(12가지)를 모의한 가스로와 디젤엔진배기(14가지)를 반응기에서 De-NOx를 실험하여 에너지밀도(SED)로 에너지효율을 평가하고 NOx의 제거효율을 비교한 결과, 충전식 DBD펄스반응기가 코로나펄스반응기보다 최대전압과 반복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에너지효율과 제거율이 우수했다.
○ 우리나라는 1990년도에 G-7프로젝트로 연료연소와 자동차배기의 NOx저감을 위한 NTP기술개발을 시작하여 1998년 하동발전소에 10MW급 파일럿을 설치해 실증실험하고 있다. NTP는 H2S, NH3와 VOCs 등의 탈취에 적합하므로 흡착제나 촉매를 충전한 packed-DBD형 NTP를 개발해 최근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나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2011년부터 정부는 수도권 PM2.5 저감을 위하여 찜질방과 직화구이 음식점 등에 BAT방지 시설설치를 확대하기 위하여 보조하고 있다. PM2.5와 PAHs와 VOCs 등 악취를 동시에 제거할 수 는 촉매충전식 DBD형 NTP 등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성능을 측정 평가해서 BAT시설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한편 기존의 공기청정기에도 NTP기술을 적용해서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저자
- P. Talebizadeh, M. Babaie, R. Brown, Z. Ristovski, M. Ar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40()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86~901
- 분석자
- 박*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