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로부터 에너지회수를 위한 열처리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세계 각국은 폐기물 관리정책을 과거의 3R [감량화(Reduce),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에서 에너지 회수(Recovery)를 포함시킨 4R 정책으로 변경하여 자원순환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폐기물 에너지의 회수기술을 개발하여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은 자원을 최대한 회수, 이용 한 후 매립·소각·해양 배출되는 가연성 폐기물 및 유기성 폐기물과 매립가스, 산업폐가스 등을 열화학 또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열이나 전력, 수송연료 등으로 에너지 화하는 기술이며, 열처리 방법은 종합폐기물 관리 시스템의 필수기술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동향 보고서(2013-022)”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2011년도 총 폐기물 발생량은 37만3,312톤/일로 전년 대비 2.2% 증가하였으며 발생원별 폐기물 구성비는 생활폐기물 13.1%, 사업장 폐기물 37.0%, 건설폐기물 49.9%이다. 재활용을 제외한 폐기물은 17%인 6만773톤/일이 발생하여 매립 (10%), 소각 (5%), 해양배출 (2%)의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 생활폐기물의 경우, 재활용률 59.1%, 소각 23.7%, 매립 17.2%로서 2011년 기준 총 배출량 중 8.2%인 연간 1,550만 톤이 에너지화 가능 폐기물로 판단하고 있다. 에너지 회수시설을 설치하면 기존 매립지의 수명이 5~7배 연장될 것으로 예측되어 매립시설의 조성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가능하면 기존 소각시설을 최대한 에너지화 시설로 전환해야 한다.
○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 투자는 고형연료 분야 31.0%, 바이오가스 분야 25.6%, 열분해 14.0%, 가스화 13.3%, 바이오연료 11.7%, 매립가스 4.5%순 이었으나 순수 국내기술이 적용된 폐자원의 에너지화 시설은 소수에 불과하다.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폐기물의 자원화를 통하여 환경 및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전략적 기술개발에 더욱 노력해야 한다.
- 저자
- Lidia Lombardi, Ennio Carnevale, Andrea Cort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37()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6~44
- 분석자
- 이*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