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화관 박테리오파지의 보건 분야 활용

전문가 제언

1900년대 초에 박테리오파지(파지)가 처음으로 발견된 이후에 대부분의 전문적인 바이러스학자은 파지를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과제를 포기해 왔다. 포기한 이유는 박테리오파지의 감염 범위가 극히 좁으며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세균과의 직접적 접촉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후에 세균에 보다 효과적인 항생제의 출현 등이 결정적으로 연구의 중단을 가져왔다. 그러나 근래 슈퍼박테리아의 출현 등 항생제의 문제점이 부각됨에 따라서 세균 감염에 대한 파지 이용에 관한 관심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파지의 세균 치료용 연구는 구 소련연방이 해체되기 이전에 조지아 엘리비아 연구소(George Elivia Institute) 등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들 연구소에서 주로 군대에서의 부상병의 세균 감염 억제용으로 파지 사용 연구가 지속되어 왔으며 이외에 요도 감염과 장관계 질환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근래에는 우리나라에서도 가축 사료용 등에 사용을 위한 국책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박테리오파지를 세균 치료용으로 실용화하기 위한 가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는 상처, 당뇨병 및 만성 중이염 등에서 이다. 이들 분야에서는 바이오필름의 형성 등에 의한 항생제의 침투가 낮고 지속적 사용에 의한 저항성 출현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항생제와 동시에 파지 사용이 권장된다. 파지는 항생제와는 다르게 1회의 사용에 의해서도 높은 작용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박테리오파지는 세균 치료 이외 건강의 바이오마커, 백신, 그리고 식품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어 근래 이에 관한 연구들이 새로 부각되는 추세에 있다. 현재로서는 기존 항생제와의 복합사용, 세균과의 직접적 접촉 증진 그리고 면역 체계의 작용 방해 등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 해결이 당면 과제이다. 파지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많은 전문적인 규명이 필요하며 객관적인 효능 평가가 요구된다.

 

저자
Marion Dalmasso, Colin Hill, R. Paul Ros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2(7)
잡지명
Trends in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99~405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