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안전운전 지원을 위한 시야 사각지대 감지 모니터의 개발

전문가 제언

최근 자동차안전기술은 급속히 발전 보급되어 차체구조의 개량이나 에어백 등의 사고피해를 저감하는 시스템으로부터 급제동시의 미끄럼거리 단축을 위한 자동제동장치인 ABS(Anti-lock Brake System) 등, 사고자체를 회피하는 예방안전장치로 까지 발전하였다. 사고예방 안전장치의 진화는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IT기기의 응용, 특히 CCTV블랙박스의 자동차에의 이용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자동차는 대부분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진행하기 때문에 상대방 차량이 어느 방향으로 주행할 것이지를 인지하는 것은 사고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차선변경을 할 경우 자차 전방차량의 주행상태파악은 물론 후방차량의 주행속도, 주행방향 등을 정확히 인지하고 차선변경을 해야 한다. 이런 상황파악을 돕기 위한 자차 전후방 충돌 전 란전(pre-crash safety)시스템이 개발되어 실차에 장착 운영되고 있으나, 이는 충돌직전에 작동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더욱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이보다 앞선 단계에서 위험접근을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 할 수 있는 시야 사각지대 감지 모니터(BSM)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자동차안전예방은 북유럽이 철저하여 사고발생을 제로 화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안전예방에 완벽한 시스템을 갖춘 차라 하더라도 자동차는 운전자에 의해 움직이는 기계이므로 운전자의 안전운전인식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면 사고 제로 화는 어렵다. 그러나 안전예방을 위한 시스템의 개발은 활발하여 선진공업국들은 앞 다투어 자동차 전시회를 개최, 다양한 안전시스템의 공개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대자동차는 실외 거울 대신에 카메라를 설치 실내 모니터를 통해 후방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한 시스템이 발표되고 있다.

 

자동차선진국에서는 안전운전을 위한 밀리미터 웨이브를 이용한 예방안전시스템, 스마트 룸 미러, 인식기능 삽입 차 탑재 카메라 등의 시스템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동차기술수준이 그 나라 공업수준을 가름하는 잣대이기 때문에 기술개발은 더욱 치열할 것으로 예견된다.

 

저자
T. HIMI, T. ODA, M. SEKI and T. KAMASAK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68(12)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66~70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