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트리플 컵 성형법의 개발

전문가 제언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부품형상이 많은 변화를 하고 있다. 주물이나 용접에 의해 복잡형상을 성형하던 부품들이 일체화 프레스성형품으로 변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엔진 분사기구, 오일 판(oil pan), 센싱 플레이트 등과, 변속기의 클러치 허브, 샤프트 Assy,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 주물품으로부터 판금 성형으로), 윤활유 공급 장치의 압력 제어밸브 등 고 정밀기능부품들이 프레스성형품으로 변모하고 있어 정밀도는 물론 제조 코스트도 저렴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들 프레스성형은 주로 열간 또는 냉간에서의 압축가공(upsetting)이나 전후방 압출가공(forward and backward extrusion)법이 적용되며, 사용 재료는 소성성이 좋은 비철금속(알루미늄합금, 동합금)또는 철 금속(SPC)을 쓴다. 경한 재료는 소성성이 떨어져 재료 유동이 나쁘기 때문에 복잡형상에 대한 재료 충만 효과가 떨어져 형상정밀도나 치수정밀도를 만족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자동차기능부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압제어밸브(OCV: Oil Control Valve)를 구성하는 전자 밸브 케이스는 트리플 컵 형상을 하고 있다. 트리플 컵 형상상세는, 플렌지가 없는 모자형상 용기의 바닥 면 중앙에 파이프(보스로 지칭)가 상하로 길게 돌출, 용기와 파이프가 일체화 되어 있으며, 용기와 파이프의 형상정밀도와 진원 도는 높은 정밀도를 요구한다. 이런 트리플 컵은 종래 주물이나 혹은 절삭가공으로 완성하거나 용기 따로 파이프 따로 제작하여 이를 용접으로 접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제품이 조잡하고 높은 정밀도를 만족할 수 없어 프레스성형법으로 일체화 성형에 성공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프레스성형법의 개발은 금형기술자라면 고민하는 만큼 개발에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물건을 구매할 때에도 손으로 만져보고 사는 습관 즉 손의 감촉과 기능이 뛰어나다는 증거이다. 따라서 이런 기능을 최대한 살린다면 보다 훌륭한 금형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어 이에 많은 투자가 요구된다.


저자
Toshiya KANI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55(644)
잡지명
塑性と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815~819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