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 공동연구의 과학적 산출: 연구자의 전략적 접근의 관련성
- 전문가 제언
-
○ 이글은 산학 공동연구의 과학적 산출: 연구자의 전략적 접근의 관련성“ 주제 하에 서론, 연구문제와 가설, 데이터 및 방법론, 분석 및 연구결과, 결론으로 구성되었다. 최근 연구들이 과학활동과 기업활동의 결합이 적어도 대학의 과학자의 차원에서 타당함을 가리키는 반면에, 그러한 성공적 결합의 배경에 있는 역동성에 관한 문헌은 미약하다.
○ 사실, 연구자가 연구의제의 어긋남뿐만 아니라 참여의 갈등, 이해의 갈등을 어떻게 피하는가에 관하여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글은 산학공동프로젝트에 대한 대학의 전략적 접근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이태리와 벨기에의 두개 대학의 공대교수로부터 수집된 조사데이터에 기초하여, 필자는 산학공동프로젝트가 연구주제의 사전성, 선택성, 신규성의 정도에 의존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 필자는 산학공동연구의 과학적 지렛대는 대학이 보다 더 선제적 전략을 추구하고 선택적일 때 더 높다고 관찰한다. 동시에 연구결과는 이 영향은 간접적임을 나타낸다. 즉, 선택성과 선제성은 산업파트너로부터 얻는 금융자원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과학적 산출 그 자체는 이 자원에 의존적이다.
○ 신규성, 선제성, 선택성 등의 세 개의 전략과 관련된 변수는 상관되지 않음이 표4에서 보인다. 이것은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의 이슈 없이 함께 모형화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연령, 팀 규모와 같은 개별 연구자의 특성과 과학생산성과의 관계는 이들 특성의 통제변수로써의 관계를 보인다.
○ 우리나라도 산학공동연구를 장려 내지 촉진하고 있으나 주로 과학과 기술의 연결, 이론과 실무의 결합을 통한 시너지효과의 외면성에 초점을 두고 그 실적 등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그 결합의 배경에 있는 역동성 내지 연구자의 전략적 접근에 관한 분석은 미약하다. 향후연구는 이글의 전략적 접근변수뿐만 아니라 결합의 역사, 전략변경의 영향, 과학적 실적의 특성과 영향의 분석 등이 추가되어 이루어져야한다.
- 저자
- Julie Callaert,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5
- 권(호)
- 44()
- 잡지명
- Research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990~998
- 분석자
- 고*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