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LC-MS/MS에 의한 장어구이 중의 말라카이트 그린 분석법의 타당성 평가

전문가 제언

곰팡이 세균 감염 방지제 및 산업용 색소인 말라카이트 그린(malachite green), 값이 비교적 싸고 효과가 우수해 어류를 양식할 때 수정란의 소독, 양식 및 운반 저장과정 중 곰팡이 발생 방지제 및 살균제로 오래전부터 어류의 양식과정에 널리 사용되어왔으나 ´90년대 초 발암물질로 알려지게 되어 세계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물질이다.

 

식약처는 말라카이트 그린 사용의 개연성이 큰 장어, 자라, 연어 및 이들 제품에 대해 우선 통관단계에서 말라카이트 그린 검출 여부를 해수부와 합동으로 검사하고, 수입단계의 모든 어류 및 시중 유통제품까지 확대해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식약처와 해양수산부는 2014년 국내에서 유통되는 양식 민물메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서울부산대구 등 6개 지역에서 국내 양식 민물메기 220건을 수거검사한 결과, 23건에서 말라카이트그린이 미량(0.0030.071/) 검출되어 민물 메기 2,873.7kg을 즉시 압류하여 폐기 조치토록 하였다.

 

우건조 등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를 이용하여 어류 중 말라카이트 그린 및 류코말라카이트 그린의 최적 분석조건을 확립하고 국내유통 수산식품을 분석하였는데, 회수율은 84~98%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으며, 분석결과 잉어 및 붕어 시료에서 류코말라카이트 그린이 검출되었다.

 

식약처는 2005년 7월 26일 어류 중 말라카이트 그린의 잔류실태를 조사한 결과 중국산 수입 장어 및 조미장어 냉동?냉장품에서 발암 의심 물질로 알려져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말라카이트 그린이 검출됐다고 밝힌 이후, 2008년 2월까지 국내에서 중국산 장어 2건의 검출 사례가 있었으나 2008년 3월 이후부터는 장어 중의 말라카이트 그린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밝혔다.

저자
Takeshi Yamashita, Kiyofumi Nishikawa, Fumiyoshi Shinozaki,Yukinori Banno, Masahiro Kawakam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56(1)
잡지명
食品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1~36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