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공식품 중의 초고감미도 감미료 아드반탐 정량법

전문가 제언

고감미도 감미료는, 식품의 맛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으로 설탕에 비해 훨씬 달기 때문에, 소량만으로도 설탕의 사용량을 대체할 수 있고, 혈당을 올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비만이나, 다이어트를 비롯한 건강은 물론 당뇨병 환자에게도 좋은 감미료이다.

 

아드반탐은 식품에 사용되는 비 영양 감미료로, 설탕보다 20,000배의 단맛을 가지며, 가금류 고기를 제외한 식품의 범용 감미료와 향미 증진제로서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서 식품첨가물로서 사용 허가를 받은바 있으나, 우리나라는 현재 검토 중이다.

 

미국 FDA아드반탐의 안전성을 결정할 때, 37가지 동물의 데이터와 사람에서의 면역 체계, 생식 및 발달 시스템 및 신경계에 대한 영향을 포함하여 가능한 독성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검토하고, 약물 동태학 및 발암성 연구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추가 탐색 및 선별 연구를 검토하여 GRAS 물질로 2014년 승인했다.

 

최근 이성봉(경기보환연) 등은 음료들에 대한 인공감미료(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 싸이클라메이트)의 함유 현황 파악을 위한 동시분석법으로, 전처리 후 HPLC/MS/MS를 이용하여 5종 인공감미료 동시분석 조건을 검토한 바 있다.

 

지금까지 발표된 대다수의 인공감미료의 분석법은 소수의 인공감미료만을 검출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나, 앞으로는 국내에서도 아드반탐과 네오탐과 같은 새로운 합성 감미료의 동시 분석법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식품첨가물로서 사용이 허가되어 식품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고감미도 감미료인 사카린(saccharin)은 지난 1970년대에 동물실험에서 방광암 상관성이 시사된 이래 한 동안 발암물질일 수 있다는 오명을 뒤집어썼으나, 맥케나 교수는 사카린이 장차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신장암 및 췌장암 등 매우 공격적인 암들을 치유하는 항암제를 개발하는 데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한다.

저자
Miki Kobayashi, Hisaya Terada, Masahiro Nakajim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56(1)
잡지명
食品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4~18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