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탐지 레이더센서
- 전문가 제언
-
○ 초고주파를 이용하여 호흡과 심장박동과 같은 작은 생리학적인 움직임의 탐지연구는 1970년대 시작되었다. 이것은 수신된 레이더 신호에서 위상정보를 탐지하는 것으로 흉벽(chest wall)의 움직임에 따라 도플러 변위가 발생된다.
○ 기존 움직임 적응(motion-adaptive)방사능치료 기법은 호흡에 의해 종양이 움직일 때 호흡주기에 연동된 복사 빔을 종양에 복사하는 방식으로 아직 정확한 호흡패턴 값의 제공되지 않아 환자에게 부분적으로 유해하고 치료정밀도가 낮다.
○ 움직임이 적은 암의 방사능치료에서 호흡을 정밀 측정하는 레이더 센서는 매우 유용하다. 이때 레이더는 종양위치의 정밀추론을 위해 호흡패턴을 실시간 측정한다. 정밀 호흡패턴 측정이 어려운 기존 CW 레이더 센서의 신호왜곡 문제는 ‘직류결합 레이더 센서’의 도입으로 측정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 의료용 레이더 센서기술은 비접촉으로 타 신체기관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기존 의료장비보다 정밀측정이 가능하여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호흡움직임 탐지기술을 이용하여 지진 폐허속의 인명구출, 수면 중인 사람의 신체징후 확인, 벽 통과 탐지 등 국방과 민수 관련분야에 크게 응용되고 있다.
○ 직류결합 레이더 센서는 음성인식 분야에도 신뢰성 높은 가능성을 제공한다. 말 할 경우 평소 호흡패턴보다 배와 복부의 호흡강도가 증가되며 발성시간동안 호흡량이 증가되는 것을 이용하여 선진국에서는 노래와 말과 호흡사이의 상호작용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국내에는 KETI(전자부품연구원)를 중심으로 대학과 병원에서 원격 심장박동과 호흡 측정용 비접촉 레이더센서를 개발 중이며 이 기술은 향후 무 채혈혈당 측정 등을 가능하게 하여 국내 의료진료 분야의 새로운 대안으로 예측된다.
- 저자
- Changzhan Gu, Changzhi L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4
- 권(호)
- 15(4)
- 잡지명
- IEEE microwave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66~76
- 분석자
- 조*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