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 생산용 오일의 잠재력 평가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오일의 알킬에스테르로, 공급 원료로 식용, 비식용 및 미세조류 오일로부터의 생산을 최고 우선순위로 간주한다. 바이오디젤은 산화 안정성 및 저온 유동특성 때문에 엔진 작동을 어렵게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석유디젤과 거의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 본 문헌에서는 산화 안정도 지수 (OSI)에 기초하여 여러 오일을 분류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기 위한 원료 오일을 선택하는데 용이하게 하였다. 오일의 가용성 및 OSI에 따라, 바이오디젤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오일을 추천할 수 있다. 이 분류 방법으로 산화방지제 첨가물 없이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는 고품질의 오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문헌은 OSI를 기반으로 오일/바이오디젤을 분류하는 것을 제안한 첫 발표이다.
○ 우리나라는 바이오디젤 원료로 식용 오일로는 대두유를 많이 사용하며, 산화반응에 의한 품질 열화 가능성이 높다. 앞으로 바이오디젤 생산 원료로 비식용유가 식용유를 교체할 가능성이 있으나, 국내 자체 원료 오일 생산은 국내 여건상 어려우며 수입에 의존해야 할 공산이 크다. 본 문헌에서 처음 제시한 OSI에 기초하여 오일의 분류를 검토한 연구는 원료의 선택을 하는데 참고가 될 것이다.
○ 미세조류는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는 작물 중에서 오일 생산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식품자원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 분야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해양 미세조류 배양 기술, 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 기술 등,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미세조류를 이용한 단위면적당 지질 생산량이 다른 식물에 비해 매우 높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기술개발의 기대는 매우 크며, 본 논문에서 제시한 OSI에 기반 하여 조류의 품질을 분류한 결과는 참고가 된다.
- 저자
- Mukesh Kumar, M.P. Shar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4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814~823
- 분석자
- 김*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