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섬유 제조의 새 접근법: 원심방사(centrifugal spinning)

전문가 제언

원심방사는 논문저자들이 주장하는바 상당한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계나 관련 산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본문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지난 4~5년 동안 겨우 20여 편에 달하는 연구논문이 발표되었을 뿐이다.

 

그러나 이 기술을 상업적인 나노섬유 생산(Forcespinning®)으로 발전시킨 FibeRio Tech. Corp.(http://fiberiotech.com)에서 주장하듯이, 원심방사는 나노섬유 생산혁신의 서곡이라는 것에 분석자도 상당부분 동의한다. 생산성과 원가에서 월등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달할 수 있는 최소 섬유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고, 형성되는 부직포의 충전밀도가 작은 단점이 지적되고 있으나 이들은 기술발전과 함께 개선될 수 있는 소지가 충분히 있다. 보다 폭넓은 연구진들이 형성되어 문제 극복을 위한 노력과 이론적인 배경을 확립한다면 원심방사는 나노섬유 제조의 중심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심방사에 대한 국내의 관심은 탄소섬유의 틈새시장에 머물러 있다. 탄소섬유를 원심 방사하여 단섬유나 부직포를 값싸게 생산하려는 시도(2013년 탄소밸리구축사업)나 이에 대한 최근 특허동향의 요약(한국고분자학회 기술지인 “고분자 과학과 기술” 2014.12, pp.535~538)에서 이를 엿볼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나노섬유 제조를 위한 새 접근법으로서의 원심방사에 대한 연구보고가 상대적으로 미약한 수준이지만, 이 기술은 기술경제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전기방사에 비해 우월한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향후 보다 많은 연구진들이 이 기술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완성된 원심방사의 기술진보에 국내 과학기술자들의 참여도 있어야 할 것이다.

 

저자
X. Zhang and Y.L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54(4)
잡지명
Polymer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77~701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