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종양 중 신경교종의 진단·치료를 위한 다중모드 영상화 기술동향

전문가 제언

뇌종양의 한 종류인 신경교종은 신경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호하며 구조적으로 지지해주는 기능을 갖고 있는 뇌와 척수의 내부에 있는 신경교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서, 대부분 주변 정상조직에 침투하여 빠르게 성장하는데 수술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신경교정은 수술과 방사선치료 및 항암화학요법 등 적극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경우 단시간 내에 재발하며 예후가 나쁜 종양으로서, 절대 다수의 악성 신경교종은 수술 및 방사성 화학요법 후에 재발되기 때문에, 새로운 분자·세포 치료법이 특정종양 성장을 대상으로 개발되고 있다.

 

뇌 영상은 뇌종양 진단·치료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즉, 병변 발견과 원인 규명, 생체검사용 표적영역 정의와 수술·방사선치료 계획 그리고 종양전개·치료결과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치료효과 평가 및 치료방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뇌 영상화기술이 더욱 향상되어야만 한다.

 

국내에서는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2014년에 Cu-64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하여 5㎜ 미만의 작은 종양도 찾아낼 수 있는 PET 기술을 개발하여 진단과 방사선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한편, 세계 방사선영상장비 시장 규모는 약 106조원에 달하며 매년 7.7% 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GE, 지멘스, 필립스, 도시바 등 글로벌 4개사가 전 세계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국내의 관련 영상장비는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뇌종양을 비롯한 암 진단·치료 기술의 혁신적 선진화와 관련 영상장비 국산화를 위하여 본문에 제시된 기술동향을 기반으로 하여 다방면의 관련 전문가와 기술인의 능력이 집약되는 대형 연구개발 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Olivier Keunen, Torfinn Taxt, Renate Gruner, Morten Lund-Johansen, Joerg-Christian Tonn, Tina Pavlin, Rolf Bjerkvig, Simone P. Niclou, Frits Thorse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76()
잡지명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8~115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