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접착과 계면 그리고 유연재료

전문가 제언

금속과 세라믹과 같은 강성 재료에 비해 결정성고분자인 섬유소재는 유연재료에 아주 가까운 관계에 있다. 특히 비결정영역의 제어가 섬유의 고성능화나 고가능화에 필수불가결하다. 강직한 결정영역과 유연한 비결정영역을 계면에서 어떻게 접착시키느냐가 고강도?고탄성율 섬유의 핵심이다.

 

본 문헌에서는 접착과 계면으로 접촉하는 생물모방형 접착제나 스마트 계면재료에 대한 개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유연재료에 대하여는 특히 콜로이드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것은 미립자가 만드는 유연재료이고, 결정성고분자의 관점으로 보면 섬유소재와 관련된 부분도 많다. 향후 10년간 새로운 분야로 취급받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고전적인 접착제는 이미 감소가 고착되었고 기능성 및 친환경성 접착제가 한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용제계 접착제 대체용인 수용성 접착제, 핫멜트(hot melt)형 접착제가 안정된 생산량을 유지하고 있다. 환경대응형 산업 형태가 이미 업계에서도 정착되고 있다 할 수 있다. 감압접착제, 이른바 점착제의 생산량은 아크릴계가 고무계 등과 비교하여 큰 회복을 보이고 종류별로는 최대량을 나타내고 있다. 탄성변형을 갖출 필요가 있는 액정패널 등의 라미네이트 접착에 안정한 성능을 제공하는 용도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용도나 특화된 접착제 분야는 잠차 한국에서도 크게 확대되고 있다. 이는 자동차, 전자, 정보기술 등의 산업분야에서 한국이 세계적으로 차지하는 역할을 대변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분야를 보면 디스플레이용, TSP용, 전자부품용, 자동차용, 모바일용, 단백질 기반 의료용, 편광필름용 등의 고부가가치 점, 접착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화학소재를 기반으로 한 점, 접착제가 첨단 제조업의 필수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이종 소재 간 결합과 접착기술 복합기능을 구현하는 소재, 생분해성 등 환경대응형 소재 등이 주목받고 있다.


저자
Akiyoshi Takeno, Hiroshi Kimura, Shinya Takahas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70(9)
잡지명
纖維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42~447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