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카메라를 이용한 보행자 출돌경보 시스템의 고속인식 기술

전문가 제언

이 논문은 단안 카메라를 사용하는 보행자충돌경보 시스템에 대한 신속한 인식 알고리즘이 기술되고 있다. 다수의 필수적 계산 때문에 차량 내 전자제어 장치에 대한 보행자 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은 어렵게 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데이터 경량화 기술과 효율적인 클러스터링(clustering)공정을 개발했다.

 

결국 데이터 전송량은 89% 감소되었고 컴퓨팅 시간은 최대 85%와 평균 51% 감소되었다. 자동 긴급제동장치(AEBS)는 보행자의 인식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센서 성능에도 큰 영향을 받고 있다. 현재는 앞 차의 긴급 제동과 보행자의 수직 방향 출현에 자동 긴급 제동한다.

 

단안 카메라의 보행자 인지기술은 차선인식과 표지인식 등 다른 기능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뒷면보행자에는 차폭에 좌우 공히 마진 0.5m를 보탠 범위로 보행자를 인식하고, 횡보행자에는 차량중심에서 좌우 공히 3.6m 범위로 인식하여 0.8m/s이상으로 진입방향에 횡단판정의 경보로 충돌위험성을 억제한다.

 

보행자 충돌경보 시스템은 보행자, 전후차량 및 도로 등을 고려하는 융합기기로 발전하여 보행자의 추돌 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AEB 기능은 단계적으로 상용화와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다. 계측오차를 줄이기 위해 상대속도와 상대거리 각각에 robust filter를 장착했다.

 

유럽 신차 안전도 평가에 AEBS와 긴급통화(eCall, Emergency call) 항목이 추가돼 AEBS는 거의 모든 차량에 의무 장착되는 추세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만도와 모비스는 신기술과 AEBS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를 높여주는 전시를 하고 있다. 센서 특성, 보행자 행동 등 고려 할 사항 때문에 많은 연구와 표준화가 필요하다.

저자
Keisuke Miyagaw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68(4)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45~50
분석자
송*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