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접착제 공업의 일본시장 동향

전문가 제언

본 문헌에서는 최근 몇 년간의 일본 접착제산업의 동향과 함께 연구개발 방향을 간략히 기술하고 있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등으로 생산량이 크게 떨어진 후 점차 회복을 시작하고 있다. 2012년에도 4% 증가 정도로 다른 산업 분야와 마찬가지로 아직 혼미상태라 할 수 있다.

 

접착제 종류별의 생산량 비율은 최근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용제계 접착제 대체용인 수용성 접착제, 핫멜트(hot melt)형 접착제가 안정된 생산량을 유지하고 있다. 환경대응형 산업 형태가 이 업계에서도 정착되고 있다. 또한 감압접착제, 이른바 점착제의 생산량은 아크릴계가 고무계 등과 비교하여 큰 회복을 보이고 종류별로는 최대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모바일 등 정보전자 산업, 자동차 등 고부가가치의 고기능 접착제가 양은 아직 작지만 점점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용도나 특화된 접착제 분야는 잠차 한국에서도 크게 확대되고 있다. 이는 자동차, 전자, 정보기술 등의 산업분야에서 한국이 세계적으로 차지하는 역할을 대변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분야를 보면 디스플레이용, TSP용, 전자부품용, 자동차용, 모바일용, 단백질 기반 의료용, 편광필름용 등의 고부가가치 점, 접착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접착제의 역할과 기능도 점점 새로운 방향이 요구되고 그 방향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접착이라는 고전적 의미의 강성 접착제에서 용도와 기능면에서 요구되는 점착제 분야가 관심을 받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새집증후군으로 대표되는 VOC 규제 등 환경대응형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나아가 생물모방형, 콜로이드 결정, 콜로이드입자?나노입자에 관한 점, 접착제로의 신규 응용 등의 첨단기술 연구가 활발하다.

 

한국의 경우 일반적인 종래의 강성 접착제뿐만 아니라 고부가가치 고기능의 소량 다품종 특수용도의 점, 접착제가 첨단산업의 발전과 함께 크게 요구되고 있다. 일부 제품은 일본 등에서의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친환경형 접착제와 함께 활발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編輯室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34(12)
잡지명
機能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0~55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