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CT를 이용한 지능형 물 관리 기술

전문가 제언

물은 지구상의 생명체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원으로 음용, 산업용, 농업용, 레저용, 위생용 등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서 물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물의 사용이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가용한 수자원에 대한 정확한 지식, 용도, 자원에 대한 수요, 정책 결정에 필요한 평가 지표 및 절차가 필요하다.

 

미래 수자원에 관한 가장 큰 관심은 수자원 배분에 대한 지속가능성이다. 사람에게 필요한 물과 환경이 필요로 하는 물과의 균형을 찾는 것이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첫 단계이다. 가속화되고 있는 세계 기후 변화의 불확실성은 수자원 관리를 위한 의사 결정을 어렵게 하고 있다. 효율적인 수자원 배분을 위해서는 새로운 관리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수원지에서의 물의 채취에서 시작하여 물의 사용 후 배수 처리에 이르는 과정에서 수도 기반시설의 결함이나 노후화 등에 의한 파손 징조를 파악하여 사전에 조치함으로서 물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일본의 NEC와 영국의 임페리얼 대학이 공동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배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수압센서, 진동센서 등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물 관리 기술을 소개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1세기 프런티어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단을 구성했다. 이 사업단은 기존의 상수도관 곳곳에 TDR(Time Domain Reflectometer)을 결합하여 수도관의 손상여부를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유량 및 수질을 관측하는 센서를 설치한 스마트 파이프를 개발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원수에서 수도꼭지까지 수량과 수질을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 워터 그리드실현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실용화되어 한정된 수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자
HISAMURA Takahiro, TAKAHASHI Hisatake, SUZUKI Naofumi, TOMINAGA Shin, MORIOKA Sumio, Ivan Stoianov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4
권(호)
67(1)
잡지명
NEC 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106~110
분석자
송*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