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시와 탐지기술 현황

전문가 제언

생물무기금지협약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는 20여 종의 바이러스를 생물학작용제로 규제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지리적 여건상 천연두, 신증후군출혈열, 인플루엔자, 일본뇌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현실적 위협이나 바이러스성 출혈열 등 국외 유입이 우려되는 바이러스도 무시할 수 없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공기로 감염되고 그 실체가 잘 밝혀져 조작이 가능한 만큼 차세대 생물학작용제로 악용될 수 있다.

 

군 전력 유지를 위해 전장감시를 위한 조기 탐지체계의 구축은 매우 중요하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시를 위한 탐지기술은 다양하나 군 의 운용개념 측면과 오경보, 현장탐지, 휴대성, 동력, 크기를 특별히 고려하여 기술을 선정해야 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탐지체계의 개발은 바이러스성 생물무기에 대한 대응책 강구에 기반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보고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탐지 및 진단기술은 RT-PCR, ELISA, LFA, SPR, FRET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탐침으로는 항체, 압타머, 글리칸이 이용되며 탐지감도 향상을 위해 형광물질과 다양한 나노재료가 활용되고 있다. 미국은 고위험 바이러스에 대해 핵산과 면역학적 기술을 기반으로 탐지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탐지/진단과 관련한 국내의 연구 활동은 실시간 PCR, ELISA, 혈청학적 항원검사, 진단키트에 관하여 수행되고 있으며 최근 증가 추세에 있다. 정부 주도의 신종인플루엔자 범 부처 사업단의 지원으로 2014년 신종 인플루엔자 대한 신속항원진단키트가 국내에서 개발된 바 있어 있어 탐지/진단 분야의 발전이 기대된다. 국방 분야에서는 생물학자동경보기의 연구 개발 경험이 있다.

 

인플루엔자는 세계 모든 곳에 확산되고 수백만의 사망을 일으키는 대유행을 일으키기 때문에 국방 차원에서도 대응책 확립이 요구된다. 본 총설에서는 항체, 글리칸, 압타머를 탐침으로 사용하여 인플루엔자의 새로운 아형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균주를 구별할 수 있는 탐지체계가 기술되었는데 군사적으로는 현장진단이 가능한 키트 형태의 탐지법을 채택한 다음 탐지경보가 가능한 휴대용 체계의 개발이 권장된다.

저자
Subash C.B. Gopinath, Thean-Hock Tang, Yeng Chen, Marimuthu Citartan, Junji Tominaga, Thangavel Lakshmipriy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61()
잡지명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57~369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