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세입자, 에어로졸에 포함된 다환방향족 탄화수소의 생체영향

전문가 제언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AHs)는 세계보건기구 국제암연구센터(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가 지정한 발암물질로서 여러 개의 벤젠고리를 가진 방향족탄화수소인데 유럽집행위원회에서도 화학물질에 관한 제한규정(REACH)에 추가하여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역별 산업단지와 연관된 PAHs의 발생원에 따라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벤젠고리 개수의 분포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는데, 석유화학공업단지와 근접한 지역은 벤젠고리의 개수가 2-3환(24%), 4환(50%)으로 석유제품산물의 PAHs를, 광양제철단지의 영향권에 있는 지역에서는 4환(44%), 5환(29%), 6환(20%)이 주로 분포되어 열분해산물을 나타냈다.

 

유럽 REACH에서는 PAHs의 농도를 1㎎/㎏를 초과할 수 없도록 하며 향후에도 신규 제한 규정이 추가될 수 있음을 밝혀 아직도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의 다양한 유도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나 디젤 차량의 배기가스 등 에어로졸에 포함된 PAHs는 상기도에 그대로 흡착하여 염색체에 변환을 일으켜 PAHs와 암은 매우 깊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를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지정하고 있으나 식약청에서 의약품 등의 독성 시험 기준에 면역 독성 시험을 항원성 시험과 면역 기능시험으로 구분 관리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면역 기능시험에서는 강제조항이 아니라 일반 독성시험을 통해서 면역계에 대한 독성 의심이 있을 때 제한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미 PAHs에 대해서는 인체의 면역계통에 악영향을 주고 있음에도 아직 다양한 PAHs의 유도체에 대한 면역 반응 영향은 체계적으로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문에서는 PAHs의 기본 골격보다도 다양한 유도체에 의한 면역체계의 악영향이 심각하므로 PAHs의 고리 수나 관능기의 종류별로 보다 체계적인 면역학적 연구가 시급하다고 본다.

저자
Hirohisa TAKANO, Eiko KOIKE, Rie YANAGISA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29(S1)
잡지명
エアロゾル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90~196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