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Dharwar craton 중 함금 석영맥의 산소 동위원소 비
- 전문가 제언
-
○ 지질학적 특성인 시공간에서 일어나는 지구물질간의 반응을 정량적으로 체계화한 학문이 바로 지구화학분야의 동위원소 지질학이다. 지구물질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지질학적 과정의 시간개념을 설정하여 절대적인 지질시대를 수립하였고,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지구물질의 기원과 물질간의 상호반응과 지질학적 과정의 물리화학적 조건 등을 정량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되어 동위원소가 지구화학분야에 광범위하게 응용 연구되고 있다.
○ 동위 원소(Isotope)는 원자 번호가 같지만 원자량이 다른 원소를 말한다. 어떤 원소의 동위원소는 그 원소와 같은 수의 양성자와 전자를 갓지만, 다른 수의 중성자를 가진다. 원소의 화학적 성질은 양성자와 전자의 수에 의해 결정되므로 동위 원소의 화학적 성질은 원래 원소와 같다. 하지만 중성자의 수가 달라서 질량이 다르므로 물리적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다.
○ 인도 Dharwar craton 동부광화대의 유체는 높은 δ18Ofluid 값을 보이며, 특히 Penakacherla(1과 2kbar에서 5.1±0.8과 7.3±0.8‰)와 비교하여 Ramagiri(1과 2kbar에서 7.9±1.5과 10.0±1.4‰)가 높게 나타난다.
○ 우리나라의 금(Au)광상은 성인적으로 화성광상과 퇴적광상이 있지만, 대부분 화성광상이며 이는 스카른형광상, 아라스카이트형광상, 열수교대형광상, 열극충진맥상광상으로 세분된다. 스카른형광상(거도광상)과 아라스카이트형광상(금정광상)에서의 금함유량은 열극충진광상에 비해 아주 높으며 조성변화도 미약한 편이다. 열수교대광상(연화광상, 장군광상)에서 산출되는 금-은, 연, 아연, 동, 철 등의 황화광물에 수반되어 산출되는데, 그 수가 많지 않으나 광상의 규모가 커서 전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 우리나라 천열수형 및 중열수형 금은 광상의 산소동위원소 비 δ18O 값은 각기 ?13.1∼-4.2‰ 및 5.5∼7.7‰이다.
- 저자
- Sourabh Bhattacharya, M.K. Panigrahi, H.K. Sachan, Aditya Khary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63()
- 잡지명
- Ore Geolo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01~208
- 분석자
- 오*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