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연구로 및 방사선동위원소 생산 원자로의 기술 및 정책의 문제점
- 전문가 제언
-
○ World Nuclear Association의 통계에 의하면 연구로는 56개국에 약 240기가 있으며, 원자력발전소는 30 국가에 434기가 운전되고 있다. 연구로는 원자력발전소에 비하여 세계에 더 널리 분포되고 있고, 1985-2005 기간 중에 많은 연구로는 폐쇄되었다. 최근에 새로운 원자력 프로젝트와 의료용 동위원소의 수요의 증가로 연구로에 대한 관심이 되 살아나고 있다.
○ 이 문헌은 연구용 원자로와 관련된 현행 문제에 관해 기술하였다. 연구용원자로는 의료용 및 연구목적으로 필요하나 핵안보와 핵무기비확산에 대한 잠재적인 우려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여기서는 영국의 핵확산 저항성이 있는 연구로에 대한 미래의 기술정책에 대하여 논의하고 이와 같은 연구용 원자로의 개발에 대하여도 논의하였다. 또한 다른 나라와의 공조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우리나라의 연구용원자로는 1959년 원자력연구소(서울 공릉동 소재)에 TRIGA Mark-Ⅱ를 도입하면서 원자력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연구용원자로는 동위원소의 생산, 로물리시험, 중성자속 이용 등 초기원자력 연구에 공헌하다가 현재 운전 중지 상태로 문화재로 등록되어 보존하고 있다. 그 다음 10년 후에 용량을 늘인 TRIGA Mark-Ⅲ를 도입하여 운영하다가 수명이 다하여 해체하였다. 현재가동 중인 연구용 원자로는 대전 덕진동에 위치한 하나로로 UAE에 수출한 한전의 상업용 원자로에 앞서 요르단에 수출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로수출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다.
○ 하나로는 1995년 2월 8일 첫 임계에 도달한 이후 원자력 기술 자립, 수출 산파역, 각종 실험부터 동위원소 및 실리콘 생산까지 담당하여 우리나라 원자력 기술자립과 기술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 연구용 원자로이다. 하나로는 원자력연이 자력으로 건조한 열출력 30MW급 고성능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로 원자력 연구개발에 필수적인 높은 중성자속(고속중성자 2.1x1014n/cm2.sec, 열중성자 5x1014n/cm2.sec)을 지닌 국내 유일의 범국가적인 거대 원자력 연구시설이다.
- 저자
- William J. Nuttal, Peter Store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77()
- 잡지명
- Progress in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01~213
- 분석자
- 강*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