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시스템의 항균제로 정유 이용
- 전문가 제언
-
○ 정유와 같은 식물 화학물질은 많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항균제로서 자연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미생물의 증식과 생존을 감소시킴으로써 다양한 용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리뷰는 항균작용 메커니즘과 식물 정유의 항균특성을 포함하여 식품에서 그 사용모드와 효율성, 시너지 효과와 주요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논의되었다.
○ 식물 정유는 식물의 줄기, 잎, 뿌리줄기, 나무껍질, 열매, 꽃봉오리, 천연수지 등에서 발산하는 냄새의 근원으로 모두 휘발성을 가진다. 수증기 증류로 추출할 수 있는 이 물질은 대개 액상을 띠며, 물보다 가벼운 특성이 있다. 보통의 유지처럼 이른바 글리세라이드가 아니라 식물의 정(精)이라고 하는 의미에서 정유라고 하여 유지와 구별하고 있다.
○ 정유연구는 테르펜 화학에 기초를 두는 것으로 테르펜 화학은 향료화학이라고 할 수 있다. 정유류의 성분은 많은 화합물의 복잡한 혼합물로 그 주요한 성분만도 10여 종 이상이다. 1877년 Tilden이 염화 니트로실을 이용하여 테르펜 화학이 확립되기에 이르렀다.
○ 국내연구로는 1992년 길 등은 ‘4種의 菌類에 대한 植物精油의 抗菌作用 “을 발표했으며, 2001년 이 등은 ”양 고추냉이 정유의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 활성 및 작용기작“을 발표하는 등 다수 있다. 특히 2011년 정은 “피부 미생물에 대한 편백 정유의 항균작용” 연구에서 편백 정유의 적은 농도에서 두피와 피부에 매우 높은 항균작용을 확인한 바 있다.
○ 식물의 종류·부위·생육도 등에 따라 정유 성분이 다르고 또 주성분도 10여 종 이상의 테르펜 화합물을 함유한다. 현재 알려진 정유는 박하유·로즈메리유 등 1,500여 종 이상에 이르며, 그중 천연향료 및 합성향료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약 100종이다. 앞으로 정유는 식품에서 기존 합성첨가물을 대체할 수 있는 항균작용과 정균작용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천연 항균제로 개발할 가치가 매우 크고, 아울러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제언한다.
- 저자
- Juliany Rivera Cal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54()
- 잡지명
- Food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11~119
- 분석자
- 김*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