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육류제품에서 자두 성분의 기능성

전문가 제언

자두는 소비자에게 편리한 스낵 패키지뿐만 아니라 직접 소비하는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자두는 광범위한 건강상 이점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식품 및 사료제품에서 자두 및 건조된 자두 성분의 기능성에 대해 연구되고 있는 것을 이 리뷰에서 설명하고 있다.

 

국내연구로는 2014년 김은 김치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KLAB21에 의한 자두 주스의 젖산발효 특성 및 발효 주스의 항돌연변이 활성2008년 윤 등은 자두와인의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 및 지질 과산화에 미치는 영향2005년에 정 등은 자두의 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각각 발표 등 자두의 기능성 연구에 대해 다수 있다.

 

우리가 주로 섭취하는 자두는 달콤한 맛과 연한 과육이 특징인 대석품종, 새콤한 맛과 아삭아삭 씹히는 맛의 후무사품종 그리고 단맛과 새콤함 맛의 조화를 이루는 피자두품종 3종으로 나뉜다.

 

이들에 대한 기능성 연구결과에 따르면 염증을 유발하는 세포에 대석품종의 추출물을 투입한 결과, 염증 유발물질인 nitric oxide의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했다. 후무사의 추출물을 실험용 쥐에게 먹인 결과 면역세포를 증식시키고, 면역매개 물질인 사이토킨 INF-γ(항바이러스 단백질), IL-2(면역세포증식 및 항체생산촉진) 등의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피자두의 경우 항산화 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자두는 그 풍부한 맛만큼이나 다양한 효과가 있는 기능성 과일이다. 자두의 성분을 보면 당분이 약 10%, 산은 주로 말산(malic acid)이며 신맛이 있고 비타민은 적다. 기능성 가공식품 개발을 위하여 식이섬유와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열매껍질이 과육보다 많이 함유되었다. 식이섬유와 각종 영양소 함유량도 우수해 건강 및 미용 면에서 충분히 대체할만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생과로 먹고 있는데, 외국의 경우는 생과 보다 건과나 주스·잼 등 통조림용으로 이용하고 있어 이러한 가공법의 연구를 제언한다.

저자
Nathan Jarvis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102()
잡지명
Mea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1~48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