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아조제우유의 조립에 따른 위 소화의 유지방 및 단백질의 분해양상

전문가 제언

유아 조제우유는 생후 12개월 미만의 유아를 대상으로 제조된 식품으로 모유를 대신하여 사용된다. 조제우유는 보통 소 우유를 근간으로 하여 제조되지만, 혹 양의 양유나 대두의 두유를 근간으로 제조되기도 한다. 소 우유는 대부분의 조제우유의 기본이 되는 기질이지만 공정되지 않은 순수한 우유는 카세인(casein)/유장(whey) 단백질의 높은 비율 때문에 유아의 신장에 무리를 준다는 부담이 있어, 12개월 미만의 유아에게는 권장하지 않는 입장이다. 유아의 창자는 사람이 아닌 출처의 우유를 소화하기에 원활하게 갖추어져 있지 않아서 설사, 장출혈, 영양실조 같은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사람이 소비하는 우유는 일반적으로 균질화(homogenize), 파스퇴르화(pasteurize) 등의 공정을 거친다. 전자는 우유의 유지방 구(globule)의 크기를 감소시켜 우유기질에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공정이고, 후자는 우유의 유해한 세균들을 살균하는 공정으로 보통 저온살균이라고도 부르지만 실제로는 HTST(high-temperature, short time), LTH(low temp- erature holding), UHT(ultra high temperature) 등 몇몇 다른 공정방법이 포함되어 있어 파스퇴르화라고 부르는 것이 합당하다. 국내에서는 업체에 따라 UHT, HTST, LTH 등 다른 공정이 사용된다.

 

유아의 소화기관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조제우유 생산에는 다른 부가적인 공정이 사용된다. 이는 카세인/유장의 비율을 사람 모유의 수준으로 낮추는 공정 등을 포함한다. 이 리뷰에서는 조제우유의 3가지 기질모델에서 유지방, 단백질의 가수분해를 비교분석하여 식품과학자 또는 조제업체 등에, 신생아의 위장 소화에 유지방 에멀션의 구조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유아조제우유의 국내 소비는 출산율의 감소, 모유 수유 운동의 확산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국내 생산은 중국시장 진출 등으로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조제우유에 대한 국내 연구는 서울대 농생대 동물자원과 등 여러 대학, 식품연구소 등에서 다양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저자
C. Bourlieu,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182()
잡지명
Foo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24~235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