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즉석식품에서 분리된 리스테리아균의 항생제 내성 및 유전다양성

전문가 제언

리스테리아균은 환경 속에 널리 분포되어 토양이나 물을 통해 육류, 유제품, 야채류, 아이스크림 등의 식품에서 분리된다. 신생아, 노인, 환자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심내막염, 패혈증 등을 유발하며, 신생아의 경우 사망률(20~30%)이 매우 높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 균이 태반 이행을 하여 조산, 유산, 사산이 일어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리스테리아균은 37℃보다 20℃가 더 운동성이 좋고, 4℃의 저온에서도 생존함으로 냉장고에 날 음식을 두었다 먹는 것은 피하여야 하며, 야채류도 충분히 세척한 후 바로 먹도록 하여야 하며, 육류도 회로 날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

 

중국에서 판매되는 즉석식품에서 리스테리아균이 6.87% 높게 검출되었다. 특히 차가운 야채류에 소스를 넣어 먹는 식품에서 놀랍게도 25.8%의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된 것은 리스테리아균의 전달 매개체로 이 식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분리된 리스테리아균의 항생제 내성은 클린다마이신(51.2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세파로틴(23.75%), 암피실린(12.5%)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이 처럼 항생제 내성이 발전하고, 더욱이 사람에게 사용되는 항생제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나타낸 것은 매우 놀랍고 위험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공중보건학적 측면에서 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리스테리아 식중독 사례는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오늘날 식품의 다양화와 국제시장의 개방화에 따른 식품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 간 식중독 발생 통계자료의 정보수집과 상호비교분석을 통한 식중독 관리대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식품 대량 수입국인 중국의 식중독에 관한 정보수집과 수입식품에 대해서 리스테리아균의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저자
Wu Shi, Wu Qingping, Zhang Jumei, Chen Moutong, Yan Ze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47()
잡지명
Food Contro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40~347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