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포장 공사에 따른 LCA 평가 모델링
- 전문가 제언
-
○ 이 연구의 핵심은 도로포장(road pavements) 공사에서 LCA(Life Cycle Assessment) 방식이 도로포장 재료의 라이프 사이클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규명한 것이다. 그간 여러 연구자에 의해 도로포장 기술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반응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건설 산업의 기반으로 혁신적인 개발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미국의 도로교통 정책 관련 최고/최악의 프로젝트 50선을 요약한 보고서가 2002년에‘The Sierra Club’에서 발표한 "스마트 선택, 트래픽이 줄어듭니다." 라는 제목으로 발행된바 있다. 매년 미국연방정부 및 주정부에서는 교량, 고속도로, 항공, 수로, 대중교통 등 교통 인프라에 200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이 연구의 핵심인 도로포장 관련 기술개선 결과는 국내 도로교통에 따른 탄소배출량 감축과 아울러 효율적인 교통트래픽 제어 등에 연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미국 워싱턴 FHWA(The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에서는 차별화된 LBR(Localized Bottleneck Reduction) 프로그램을 통해 집중적으로 반복되는 교통 혼잡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도로포장 공사 등으로 인한 과다한 교통 트래픽 병목현상 발생 시 많은 비용이 드는 주요 건설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교통대체 솔루션 운영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다. 이 연구의 핵심을 이해하여 국내 도로건설 및 유지보수 계획수림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 교통트래픽의 정체나 병목현상을 해소하는 데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다보면 통행이 원활한 도로망에 대해서도 복잡한 규정을 적용함으로써 오히려 트래픽 흐름을 저해하는 요인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체발생 빈도를 잘못 측정하거나 빈번하지 않은 지점을 설정함으로써 특정 시간대 이후에도 정체나 병목현상에 맞는 교통신호 정책으로 인해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교통정책은 오랜 기간 동안 수집하고 분석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저자
- Fabio Galatioto, Yue Huang, Tony Parry, Roger Bird, Margaret Bel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5
- 권(호)
- 36()
- 잡지명
-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65~75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