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신경작용제 중독의 대체치료법 개발현황

전문가 제언

군사적으로 신경작용제 해독제는 화학무기 공격에 대비하여 개인 병사가 휴대해야 되는 필수품이 되어 있고, 신경작용제의 독성작용이 매우 빠르고 치명적이며 해독제 투여 후에도 여러 가지 부작용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새로운 신경작용제 해독/예방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많은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신경작용제 해독/예방제는 인체에 적용되는 의약품으로 해독/예방효과 뿐 아니라 인체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므로, 약물투여 후에 예상되는 부작용들이 동물시험과 임상시험을 통해 철저히 밝혀져야 하며, 현재 주로 주사제로 약물이 개발되어 있으나 개인이 직접 편리하게 투여할 수 있도록 경구용 알약, 피부 부착형 팻치(patch), 코를 통한 흡입제 형태로 개발하려는 연구도 필요하다.

 

국내에서 국방과학 분야에서 미국의 군용 신경작용제 해독제 키트의 모방개발 경험과 해독제의 합성, 약효평가, 동물시험을 통한 안전성 평가 등에 대한 연구경험을 갖고 있고, 국내 의과대학의 응급의학 분야에서 유기인 중독환자들의 중독증상과 치료사례들에 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새로운 해독/예방제 개발을 목표로 신약개발 차원의 연구활동은 미흡한 실정이다.

 

차기 해독/예방제로 촉매형 bioscavenger 개념의 유기인 분해효소들이 유망하기 때문에, 앞으로 국내에서도 이 분야의 연구를 수행한다면 미생물 및 포유동물에서 이러한 효소들을 추출하고 가공하여 여러 가지 신경작용제와 유기인 살충제들에 대한 약효를 평가하고 인체안전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의 신경작용제 해독분야 연구경험과 단백질 공학의 기술수준을 고려할 때 새로운 해독/예방제들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되나, 신약 개발에는 장기간의 연구개발기간과 많은 연구개발비가 소요되므로 연구기획단계에서 국제협력이나 산학연 공동연구 등을 통해 개발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안들이 충분히 검토된 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자
Rupa Iyer, Brian Iken, Alex Leo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233()
잡지명
Toxicology Letter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00~206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