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릴 코팅에 의한 샌드블라스팅 유리의 광투과율 및 강도향상
- 전문가 제언
-
○ 규산염 판유리 표면의 외부에서 주는 손상에 의하여 강도가 약해지고 광 투과성이 떨어져 가시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이다. 표면을 규사분말로 분사(sandblasting)하고, HF로 부식처리 후 아크릴 코팅을 하여 강도와 광 투과성, 가시성, 광전효과, 충격피로저항 등을 향상시킨 기술이다.
○ 유리표면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샌드블라스팅과 불산 부식 처리와 광 투과 및 가시성을 향상하기 위한 아크릴코팅 공법을 조화시켜 종래의 판유리의 평면처리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 종래 판유리의 강화기술에는 풍냉 강화법과 이온교환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풍냉 강화는 판유리를 강화로에서 연화 온도 부근까지 균일 가열한 후 양면에 공기를 불어 급냉시킴으로써 유리의 양 표면에 큰 압축응력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고, 이온교환강화는 유리 표면의 나트륨을 이온반경이 큰 칼륨으로 치환함으로써, 유리 표면에 압축응력을 부가한 것이다.
○ 근래는 유리판 여러 장을 스파터링 증착을 하는 방법과 2매 이상의 판유리를 PVB(Poly Vinyl Butyral)필름으로 접착시킨 안전유리 일종으로 파손 시에도 유리파편이 비산하지 않고 충격이 가해져도 깨지지 않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 샌드블라스팅과 불산 부식 처리 후에 아크릴 코팅방법은 강화 및 광 투과성, 가시성 등이 좋아지는 방법이다. 그러나 공해물질인 폐 불산 용액의 폐수처리에 따르는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개발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 저자
- Mostafa Koll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55(5)
- 잡지명
- Glass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46~152
- 분석자
- 강*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