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적용을 위한 에어로졸 약물의 전달전략
- 전문가 제언
-
○ 폐 및 비 폐질환의 치료를 위해 흡입 경로로 약물을 투여하는 기술은 날로 발전하고 있다. 에어로졸 약물은 주로 천식, 만성폐쇄폐질환, 당뇨병 환자 등을 위한 방안으로 상용화되어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최근 호르몬, 인터페론 등 바이오신약의 에어로졸 전달 방안도 연구되고 있으나 적용 대상 약물은 아직 제한적이다. 흡입형 약물전달의 핵심적 이점은 전신 부작용이 적고 빠른 국소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 에어로졸의 폐 침착은 에어로졸 발생 체계, 입자 크기, 흡입패턴, 흡입경로, 공기흐름 및 폐질환 유형 등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흡입형 약물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통상 약물 제형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투약 기구가 함께 개발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기로 소량분무기, 압력식정량흡입기, 건조분말흡입기 3가지 디바이스가 통용되고 있다.
○ 약물전달시스템(DDS)은 바이오의약품과 더불어 최근 연구가 활발한 분야로서 2017년 글로벌 마켓 매출액이 1,98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제어방출, 지질소재의 리포솜 제조, 에어로졸을 이용한 폐점막 투여, 경피투여, 암세포 지향 전달기술 등에 관한 연구가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다. 흡입형 약물의 제형 또는 에어로졸 흡입기/발생장치에 관한 연구개발 활동은 미국이 선도하고 있으며 독일, 영국이 뒤따르고 있다.
○ 국내의 경우 ‘약물전달’ 기술은 국가융합기술 발전기본계획에 11대 융합기술의 하나로 선정되어 추진되고 있으나 아직은 성장기로서 전반적인 기술수준은 선진국 대비 60% 정도로 평가되고 있다. 국내 의약산업은 바이오시밀러에 편중되어 발전하고 있어 특히 에어로졸 흡입형 약물을 위한 제형과 전달 디바이스에 관련한 연구개발 활동은 아주 저조한 실정이다. 리포솜 형태의 제형에 R&D 투자 확대가 요망된다.
○ 본 총설에서 저자는 새로운 약물과 새로운 에어로졸 제형은 폐질환을 치료하는 능력을 증대하여 왔고 당뇨, 폐동맥고혈압, 암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 길을 열어 놓았다고 하였다. 약물의 에어로졸 전달은 사용 간편성, 환자 편의성, 효과 선택성, 부작용 감소 등의 잠재적 이점이 현저하기 때문에 발전이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 저자
- Bruce K. Rubin, RonaldW. William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75()
- 잡지명
-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41~148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