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연료전지자동차의 운명 개척: 테슬라 자동차 성공사례의 교훈

전문가 제언

연료전지는 무공해이며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미래 에너지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각국 정부는 연료전기 기술개발 경쟁에서 자국기술이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직간접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그 결과, 연료전지에 관한 대부분의 문제점이 극복되어 현재는 상용화 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연료전지의 중요한 용도 중 하나는 자동차의 동력공급원으로 탑재하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연료전지자동차는 기존의 내연기관자동차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무공해 자동차로 홍보되어 왔으며 앞으로의 시장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자동차를 포함한 국내외 여러 회사들도 오래 전에 연료전지자동차를 개발하였다는 발표를 하였지만 아직까지도 우리 주변에는 연료전지자동차가 보이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고 있다. 이 자료는 그러한 의문에 대하여 일정부분의 답을 주고 있다.

 

현재 연료전지자동차를 제조하는 회사들의 시장 진입전략에는 잘못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최근에 미국, 유럽 등지에서 고급차로서 인기가 좋은 테슬라 전기자동차의 시장 진입사례를 참고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테슬라는 고급자동차를 만들어 고급시장으로 진입하는 전략을 써서 성공하였다. 연료전지자동차와 전기자동차는 다 같은 신기술이며 친환경 자동차이고 값이 비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테슬라가 성공한 시장 진입전략을 벤치마킹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시장 진입에서 성공한 경우는 테슬라와 일본 Nissan의 경우가 있다. 테슬라는 신제품의 시장 진입전략으로 고급차 시장을 공략하여 성공하였지만 Nissan의 경우는 정부 보조금을 토대로 일반 상용차와 경쟁하면서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연료전지자동차의 경우는 아직까지 정부 보조금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테슬라의 전략이 더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Scott Hardman, Eric Shiu, Robert Steinberger-Wilcken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40()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625~1638
분석자
김*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