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양한 골재를 이용한 감마선 차폐용 고성능 고밀도 콘크리트 개발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는 운전 중인 원자력발전소 수와 전력생산 규모로 보아 이미 세계 상위권에 속한 나라이다. 우리나라 발전량의 약 31%를 차지하는 원자력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매우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이다. 그러므로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용기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가동중 발전소 건전성 및 안전성 확보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며 우리나라에서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할 원천기술이 된다.

 

본고는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고성능 콘크리트와 달리 감마선차폐를 목적으로 고성능 고밀도 콘크리트 기술 확보를 위하여 콘크리트 구성 재료인 고밀도의 굵은 골재(자철광(magnetite), 중정암(barite), 침철석(Goethite), 사문암(serpentine)), 보조 시멘트 재료(실리카 흄(silica fume), 비산재(fly ash)고로 슬래그(blast-furnace slag)) 및 잔 골재(모래와 잔 광물 골재) 등을 이용하여 압축강도도 높이고 방사선 차폐능력을 높이는 고성능 고밀도의 콘크리트제조 기술을 개발한 내용을 담고 있다.

 

최근의 국내·외 콘크리트의 제조 및 활용기술은 크게 사용 환경과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큰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외국에는 격납용기용 고성능 콘크리트 설계 및 개발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여러 유형의 콘크리트의 차폐특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는 한수원의 원전 콘크리트 수명관리연구, 경기대의 방사선 차폐용 고밀도 콘크리트 특성연구, 현대건설의 고기능구조물 시공기술개발, 연세대학교의 다목적연구로 [하나로]를 이용 모르타르에 대한 중성자조사 기초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고성능 고밀도 콘크리트 개발을 위하여 적절한 골재의 선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국내 실정에 적합한 중량 골재원 선정 및 이에 대한 참고자료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며, 개발되는 기술은 국산 원자로의 안전성 향상과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Ahmed S. Ou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79()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8~55
분석자
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