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세포 내 이온 항상성: NHX 타입의 양이온/수소이온 운반체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식물세포는 원형질막에 있는 H+-ATPase, 액포막과 내막에 있는 V-ATPase, PPA 단백질들의 능동적 펌프작용으로, 막을 경계로 하는 수소이온의 농도차이를 형성한다. 이러한 “high energy state"는 다양한 무기이온 및 유기화합물의 막-통과 2차 능동수송을 가능케 한다. 세포 내 NHX(Na+/H+ antiporter) 운반체는 CPA(Cation/Proton Anti- porter) family로서는 식물에서 처음 알려진 멤버이다. 생리적, 생화학적 연구는 Na+/H+ 및 H+/K+ antiporter가 식물에서 세포 내 이온항상성과 pH조절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식물에서 K+는 효소의 보조인자로서뿐 만이 아니라 전하의 균형, 삼투조절 등을 위해서도 세포질 액의 K+ 농도가 정확하게 유지된다. 이런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세포 밖으로부터의 K+의 유입과 세포 안에서 액포 내의 K+ 교환은 면밀하게 조정된다. 식물의 정상적 성장과 발생 동안에 K+ 항상성이 NHX에 의해서 유지된다.
○ 식물 유전체 사업으로 식물에는 수많은 CPA family 멤버들이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유전자연구를 통한 특정 NHX 유전자의 과다발현, 또는 넉 아웃 돌연변이체를 이용하는 접근으로 이들의 기능이 점차로 확대되어 알려질 것으로 기대된다. 아기장대 AtNHX1은 식물 NHX 운반체 family 중에서 창립멤버로 처음 알려진 단백질이다. 이는 액포 안으로 독성 Na+을 축적시켜 과다 Na+을 격리 처리하는 작용을 한다.
○ 식물 NHX의 유전자연구는 이들 운반체가 세포 내 이온 또는 pH 조절뿐만 아니라 식물성장과 발생에서 세포 확장, 삼투조절, 막 trafficking, 단백질 processing, 기공기능과 식물 수분상태, 환경스트레스 반응, 개화조절 등 다양하고 폭 넓은 세포과정에 관여한다.
○ AtNHX1의 과다발현이 아기장대의 염류내성 표현형을 나타낸다는 것은 NHX 유전자연구 초기에 보고된 바 있었다. NHX 자체에 대한 연구는 아니지만, 국내에서 식물의 염류스트레스를 포함하는 환경스트레스 연구는 연세대 김우택 연구그룹에서 수행하고 있다.
- 저자
- Bassil, E, Blumwald, 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22()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6
- 분석자
- 강*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