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보스위치 조작-극히 중요한 2, 3단계 제작
- 전문가 제언
-
○ 합성생물학은 생물학적 시스템 지식을 이용해, 새로운 생물학적 요소를 디자인하여, 유전자조절과 논리장치, 생물정화, 의료에서의 물질생산이나 진단과 치료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해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RNA-기초한 요소는 조작된 시스템의 핵심요소이다. 구조와 기능이 다양하기 때문에, 분자와 환경 신호에 대한 많은 상이한 형태의 결과와 반응하는 조절 리보스위치 생성에 이상적이다.
○ 최근 진보로 기존 툴박스에 새로운 센서와 출력도메인이 추가되었고, 많은 상이한 유기체로의 리보스위치 이식가능성이 논증되었다. 리보스위치 디자인 개선과 기내에서 활성스위치의 선별로, 자연 리보스위치처럼 조절특성이 있는 리보스위치 분리가 가능하다.
○ 리보스위치에 관한 국내 연구자 최근논문은, “아미노글리코시드-감지 리보스위치를 조절하는 작은 분자의 인-실리코 확인, 2015”, “동향 리보스위치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물질 발현증대 연구, 2014”, “효모의 새로운 유전자내 리보스위치-조절된 유전자발현, 2012”, “900MHz NMR을 활용한 c-di-GMP 라이보스위치 구조와 겹침 기전에 대한 연구, 2012”, “합성 유전자내 리보스위치의 생성과 이를 통한 특정 목표 유전자 발현 억제로의 응용, 2010” 외에도 다수가 있다.
○ 또한 리보스위치 연구동향에 관한 논문도 많이 발표되고 있으며, 출원된 특허에는, “리보스위치를 이용한 L-트립토판 고생산균 선별방법, 2013”, “리보스위치를 이용한 라이신 고생산균 선별방법, 2012”, “리보스위치를 포함하는 구조 기반 화합물 디자인, 2007년” 등이 있다.
○ 우리나라에서의 리보스위치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여 성과가 계속 도출되고 있다. 어떤 RNA 리보스위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기능도 다양하다. 장차 연구가 진전될수록 새로운 대사물질에 결합하는 리보스위치가 계속 발견,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자
- Christian Berens and Beatrix Sues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31()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0~15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