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풍력 발전의 수명주기 비용 분석

전문가 제언

풍력에너지는 무한정의 청정에너지원이고, 풍력발전시설은 비교적 비용이 적게 들고 건설 및 설치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2012년 전 세계의 풍력발전설비 총량은 전년대비 19% 증가한 282GW이고, 2017년 말에는 약 537GW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경우 1990년 이전에는 대부분의 신규 발전소들이 석탄이나 원자력을 이용하였고, 2000년대에는 천연가스를 이용한 발전소들이 선호되었다. 2006년부터 주요 재생에너지 발전소들이 건설되기 시작하였고, 특히 풍력발전은 2012년에 추가된 신규 용량에 있어 천연가스 발전소보다 더 많은 43%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만일 발전계획이 비용 측면에서만 평가된다면 풍력발전은 천연가스를 이용한 발전에 비해 선호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풍력은 CO₂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시키고, 탄소배출비용과 환경적 외부효과를 고려한다면 전력망 용량 확대를 위한 경쟁력 있는 선택이 될 것이다.

 

한국정부가 녹색성장을 국내 경제성장의 최우선 과제 중의 하나로 설정함에 따라 향후 국내 풍력발전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세가 강해지리라 예상된다. 2012년 국내 풍력발전설비 용량은 483MW로 전체 에너지 대비 미미하다. 정부는 2017년까지 풍력발전설비 용량을 1GW, 2022년까지는 15GW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국내에 설치된 풍력발전설비의 대부분은 Vestas를 비롯한 해외업체 설비이고, 국내 업체의 경우 기술자립 및 산업화 구축은 어느 정도 완료된 상태이다. 고 신뢰성, 고효율 대형 육·해상 풍력발전시스템 개발과 계통안정화 제어기술 및 풍력 자원량 평가기술 확보가 가장 시급한 문제로 보인다.

저자
Chiao-Ting Li, Huei Peng, Jing Su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75()
잡지명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11~418
분석자
김*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