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프로바이오틱 기능성 식품

전문가 제언

기능성 식품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00년도에 330억불에서 2013년도에 1,760억불로서 3년 동안에 약 5배가 증가하였다. 전체 기능성 식품 시장에서 프로바이오틱 식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65%에 달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생리활성 균을 말하며 주로 장내 유해세균을 소멸시키는 정장작용, 변비방지, 종양억제, 당뇨예방, 혈압강하,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 기능성식품으로는 유제품 형태로서, 발효유, 아이스크림, 치즈, 유아식, 분유, 냉동 디저트, 유장 음료, 사워크림, 버터밀크, 가향 액상 우유 등이 있다.

 

대표적인 프로바이오틱 균으로는 유산균 Lactobacillus sp.에 속하는 L. acidophilus, L. casei, L. delbrueckii ssp., L. cellobiosus, L. curvatus, L. fermentum, L. lactis, L. plantarum, L. reuteri, L. brevis 이 있고, Bifidobacterium sp.에 속하는 B. bifidum, B. adolescentis, B. animalis, B. infantis, B. thermophilum, B. longum 이 있다. Lactobacillus는 소장에 Bifidobacterium은 대장에서 주로 서식한다.

 

가공과 저장 과정 중에 프로바이오틱 균의 활성을 유지하기위하여 마이크로캡슐화 방법을 활용한다. 이 방법은 균을 분무건조에 의해 작은 입자로 만들고, 그 표면을 얇은 막으로 싸는 것으로서, 캡슐화제로는 키토산, 아카시아 검, 카라기난, 젤라틴, 알긴산 염, 셀룰로오스, 이눌린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올리고당 함유 이눌린이 가장 좋은 캡슐화제로 평가되고 있다.

 

국내의 기능성 식품시장 규모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식품 산업계에서도 프로바이오틱 균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제조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이 분야에 많은 특허도 출원하고 있는 실정으로, 국내 식품 산업계에서도 새로운 프로바이오틱 기능성 식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도전해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저자
M.K. Tripathi , S.K. Gir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9()
잡지명
Journal of Functional Food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25~241
분석자
장*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