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의 복잡성관리를 위한 접근
- 전문가 제언
-
○ 사물인터넷(IoT)에 대한 관심과 연구개발이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사물 인터넷을 겨냥한 제품개발 및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사물간의 협업, 상황인지, 다양한 센싱 방식 등 글로벌한 개념의 IoT 환경변화에 대한 관심이 크다. 여기서는 스마트 도시에 시멘틱 웹으로 대규모의 IoT 시스템을 모형화함에 있어서 이기종 소자간의 상호작용을 분산 및 협력적 접근으로 거대한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한 접근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 또한 온톨로지 웹언어의 특성을 이용하여 방대한 스마트 도시의 사물 정보에 대한 의미적 모호성을 감소시키고 센서 웹의 문법적 표준화 서비스에 대한 의미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서로 상이한 소자 및 프로세스간의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의 각종 사물로부터 입력되는 다양한 정보를 모형화하여 융복합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IoT 환경에서 발생하는 사물간의 복잡성과 제한성을 해결할 수 있다.
○ 스마트 도시환경을 IoT 환경으로 구현하는 것은 IoT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다. 아직 국내외적으로 IoT 시장은 초기단계지만 IoT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로 IoT 시장 규모가 Gartner(2013) 조사에 의하면 2020년 약 2,09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약 1조9,000억 달러의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향후 시맨틱 웹을 적용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는 스마트시티뿐 아니라 첨단의료 서비스 산업, 수자원 및 농축 산업, 융복합형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새로운 사업화 촉진이 가능하며 새로운 서비스 해외시장 진출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기업들은 IoT 관련 산업영역 및 시장 진입방식과 활동을 모색하고 연구개발 측면에서 IoT 적용의 복잡성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및 온톨로지 개념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연구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저자
- Angel Hernandez-Bravo, Jesus Carreter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36()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10~217
- 분석자
- 조*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