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새로운 소프트웨어 공학

전문가 제언

소프트웨어 개발은 종래 프로그래머 개인의 기술 및 경험과 역량에 좌우되어 추진되어 왔다. 프로그래머는 소프트웨어 작업을 실제로 해야 하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프트웨어 개발 일정 단축이나 높은 품질의 달성을 위하여 프로그래머의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프로그래머 개인의 독창성에 의존하고 주관적 판단에 의한 예측과 개발 작업으로 인하여 판단 오류 등이 발생하여 개발이 실패되곤 하였다. 특히 소프트웨어가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으며 뉴미디어의 등장에 따라 더 이상 개인의 역량에 의존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고 종래의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식에도 많은 문제가 생겼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개발을 통해 생산성 문제, 품질 문제, 관리 문제 등을 해결하려는 노력과 함께 학문을 통해 연구되고 개발되는 공학적인 접근방법인 소프트웨어 공학이 대두하게 되었다.

 

소프트웨어 공학은 소프트웨어의 개발, 운용, 유지보수 등의 주기 전반을 체계적이고 서술적이며 정량적으로 다루는 학문이다. 이 분야는 다른 공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젊은 분야로 아직도 소프트웨어 공학이란 실제로 무엇이며 전통적인 공학의 정의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에도 다양한 접근방식과 적용을 하고 있다.

 

이 기고는 최근에 대두된 기능(방법)을 지원하고 기본이해(이론)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SEMAT(Software Engineering Method and Theory)을 소개하고 있으며 진행 중인 작업이지만 소프트웨어 공학의 본질을 명확하게 하고 있다.

 

저자
Ivar Jacobson and Ed Seidewitz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57(12)
잡지명
Communications of the acm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9~54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