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수복재의 연구개발 현상과 금후 기대되는 전개
- 전문가 제언
-
○ 자기수복 기능재료의 개발은 경비상승(Cost up)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자기수복 재료개발의 민간에서의 활용은 지금까지 한정적이었다. 이와 같은 생각이 바뀐 것은 자기수복 도료의 자동차 차체코팅에 있어서 상품화의 성공이다. 상품화에는 저 코스트, 내구성, 소비자의 대응 등이 필요하지만, 이것을 해결하고 있다.
○ 고분자재료의 기계적 강도나 내구성은 낮지만, 비중이 압도적으로 작고, 가볍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우주기기나 항공기의 기체 등에 사용하는 고분자재료는 낮은 내구성 대책으로 자기수복 기능을 부여하는 연구가 미 항공우주국이나 국방부에서 추진하고 있다. 여러 가지 시험이 수행되고 있지만, 주로 수복재를 캡슐에 내포시켜서 고분자재료에 분산시키는 방법이다. 응급수리가 곤란한 것, 우주뿐만이 아니고, 산간부의 터널이나 교각, 고온의 화력발전, 원자력발전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분야에서는 자기수복 콘크리트, 내후성 강철, 자기수복 내열강철이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 혹은 연구되고 있다
○ 뼈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자기수복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외부로부터 체내에 매립된 인공 생체재료에도 마찬가지의 자기수복을 가지게 하는 것은 새로운 과제라고 생각된다. 원래 자기수복 기능을 가지는 신소재인 그래핀이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그래핀이나 카본나노튜브 등은 생체친화성이 좋기 때문에 자기수복성을 가진 생체재료로 활용되리라고 생각되며, 금후 더욱 발전이 기대된다.
○ 국내에서 자기수복 개요는 2005년경에 소개되어 현재는 기초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핵심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일부 중소기업에서 자기수복용 생체재료를 개발하여 KFDA의 허가를 얻었다. 자기수복은 각종 공학재료의 신뢰성이나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초기 단계의 분야이다. 유기와 무기재료에 개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좋은 연구과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Norio SHINY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65(10)
- 잡지명
- 表面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64~469
- 분석자
- 강*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