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진에서 바스-릴리프를 제작할 때 비사실적 렌더링과 광도 스테레오의 사용

전문가 제언

2D 사진으로부터 바스-릴리프(bas-relief)의 제작은 동전, 기념메달 그리고 기념품 등에 잠재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현행 방법은 불충분한 예술적 효과와 현저한 뒤틀림 그리고 불균형한 콘트라스트로 인하여 산업에서는 아직까지 실제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먼저, 사람 얼굴의 단일 정면 사진으로부터 바스-릴리프를 자동으로 제작하는 방법에 의한 SFS(shape from shading: 명암에서 형상)를 제안한다. 그러나 원치 않는 세부 사항의 억제가 문제가 된다.

 

NPR(non-photorealistic rendering: 비사실적 렌더링)이 원치 않는 세부사항을 어떻게 억제하고 중요한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우리에게 가능한 사전체계에 어떻게 포함시키는지를 보이는 것을 구현한 결과를 본고에서 제시하였다. 곡면지향 계산을 위해 SFS 대신 PS(photometric stereo: 광도 스테레오)에 따르는 릴리프 형상을 복원하는 대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효과적으로 계산 시간을 줄여준다.

 

영상 재조명을 위한 확장된 부트스트랩 세트(bootstrap set)는 얼굴 인식의 범위를 보다 넓게 포함(span)한다. 궁극적으로 실제적인 적용은 프로필에서 얼굴 윤곽과 객체의 넓은 부분까지 제안하는 확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또한 NPR의 응용 가능성을 여타 다른 응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아이디어의 중간 단계로 생각할 수 있다.

 

바스-릴리프 제작기술은 고대로부터 중국과 중동문화에서 맥을 이어왔다. 본 연구는 기존의 바스-릴리프 기술에 컴퓨터그래픽스 기술과의 융합으로 최근에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 분야에 관해 국내의 학술모임에서는 아직 연구결과 발표가 없었다. 국내에서 바스-릴리프를 제작하는 미술가는 분명 있을 것이지만, 본 연구 사례가 제안하는 알고리즘과 같은 내용을 활용하는 시도는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 분야의 연구가 활발해져서 2.5D의 표현미술과 관련 ICT 기술이 융합되어 나타나는 기술은 미래의 유망 이머징기술 분야가 될 것임이 틀림없다.

저자
J. Wu, R.R. Martin, P.L. Rosin, X.-F Sun, Y.-K. Lai, Y.-H. Liu, C. Wallrave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76()
잡지명
Graphical Model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02~213
분석자
김*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