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무기비소를 제거하는 건조 톳 가공품의 제조법

전문가 제언

자연환경에서의 비소는 크게 나누어 무기비소와 유기비소의 형태로 존재한다. 육상생물의 비소농도는 해상생물보다 낮다고 알려졌고, 대부분은 3가나 5가의 무기비소로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무기비소는 유기비소보다 독성이 강하며 As(III)는 As(V)보다 10배 정도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소의 섭취 노출로 인한 발암 가능성은 무기 비소에 의한 것이며, 국제암연구소에서는 무기비소 화합물을 그룹 1(인체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2010년 FAO/WHO 합동식품점가물전문가위원회(JECFA)에서는 비소독성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기존의 주간잠정섭취허용량(PTWI)의 유지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판단하에 PTWI 값을 삭제하였다.

 

2009년 김 등이 발표한 "HPLC-ICP-MS를 이용한 톳의 비소 화학종 분석 및 위해성 평가" 연구보고서에서 총 30종의 시료를 구입하여 분석한 무기비소의 평균함량은 As(V) 40.36mg/kg, As(III) 0.37mg/kg으로 전체 비소함량의 88.6%를 차지한다고 발표하였다.

 

2014년 7월 18일 국제 식품규격위원회에서 쌀 중 무기비소 허용기준을 0.2mg/kg으로 설정하였다. 우리나라는 식품 중 무기비소에 대한 허용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았으나, 2014년 10월 1일 쌀에 대하여 국제 식품규격과 같이 0.2mg/kg으로 행정예고 하였다.

 

비소 화합물 중에서도 무기 비소가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의 정도가 크다. 따라서 톳 등 무기 비소함량이 높은 해조류 식품에 대하여 저감화를 위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임으로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하여 이와 관련된 연구를 추진하여야 한다고 본다. 아울러 식품 중에 존재하는 비소의 영향을 정확하게 평가해야 하기 위해서는 비소 화학종별 함량 조사가 필요하다.

저자
Yumiko YAMASHIT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80(6)
잡지명
日本水産學會l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73~978
분석자
이*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